[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지난 1962년 창사 이후 국내 원전사업을 이끌어온 두산중공업이 최대 위기를 맞이했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 여파로 인해서 일감이 완전히 끊겨버렸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기를 돌파하고자 원전 해외 수출에도 눈을 돌렸지만, 해외 수주를 받기 역시도 하늘에 별 따기다. 때문에 두산중공업은 울며 겨자먹기로 두산엔진과 두산밥캣 등의 지분까지 팔았지만 여전히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중공업은 실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김명우(59) 사장이 사퇴하는 것에 이어, 유급 휴직 등 인력 구조조정에 나섰다. 김 사장은 지난 3월 대표이사에 취임한 지 약 9개월 만에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는 것이다. 특히 김 사장은 두산그룹 내에서 인사관리(HR) 전문가로 통하는 인물로, 지난 1987년 두산 핵심 계열사인 동양맥주(현 오비맥주)에 입사했다. 이후 두산 인사기획팀장을 거쳐서 2002년 두산중공업 인력개발팀장을 맡았었다.


김 사장은 두산중공업의 실적 부진으로 인해서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해야하는 상황 자체를 부담으로 던 것으로 알려졌다.


두산중공업은 올해 임원만 30%나 감축한데 이어서 직원 400여명 가량을 두산인프라코어를 비롯한 다른 계열사로 전출시켰다. 일감이 넘쳤던 지난 2013년 8428명에 달했던 직원 수는 지난 9월 말 기준으로 7284명으로 13.6% 1144명이 감소했다.


또한 같은 기간 171명에 달했던 임원 수는 84명으로 줄었다. 아울러 내년부터는 과장급 이상 전 사원을 대상으로 두 달간 유급 휴직도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두산그룹 원자력 비즈니스그룹(BU)은 오는 2021년 완공 예정인 울산 신고리 5,6호기를 끝으로 국내에서는 일감이 완전히 끊겨버린다. 정부가 지난해 신규 원전 4기 건설 중단 결정을 내렸기 때문이다. 지난 2015년부터 원자로 설비 등을 제작해온 울진 신한울 3,4호기 건설 프로젝트도 지난해 정부가 사업을 중단하면서 완전히 멈췄다. 사업이 최종 취소되면 두산중공업은 미리 제작한 기자재에 들어간 비용 4930억원 역시 고스란히 날리게 됐다.


한국의 원전 역사와 같이 해왔던 두산중공업이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서 1년 만에 생존을 걱정해야하는 위치에 놓이게 된 입장이다. 더 큰 문제는 올 상반기 기준 두산중공업의 단기 차입금은 2조 9643억원에 달하며, 이 기간 이자비용으로만 856억원을 썼다. 따라서 최소 연간 2000억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내야만 차입금 이자를 상환할 수 있는 입장이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지금과 같은 상황이 계속된다면 머지않아 두산중공업이 경영상 ‘생존 위기’를 맞이하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 해외원전 수주에 기대를 걸고 있지만, 이 역시도 녹록치 않다.


탈원전 정책이 지속되는 한 국내 기업에게 원전 수주를 맡길 나라를 찾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발주 국가 입장에서는 원전이 건설된 이후에도 지속적인 기술과 인력을 지원해줄 곳이 필요한 데, 국내 기업의 경우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서 이러한 사후가 불투명하다. 따라서 두산중공업이 아무리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향후가 불투명한 기업에게 선뜻 원전수주를 맡길 나라는 없는 것이다.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