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이현주 기자]중국이 올해 들어 계속해서 보유하고 있는 미 국채를 매각하고 있다. 이를 두고 트럼프 행정부의 잇따른 관세 정책에 보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의견과 그러기엔 영향력이 미미하다는 의견이 함께 나오고 있다.


18일(현지 시간) 미국 재무부가 공개한 ‘국채 보유 주요 국가’ 통계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중국이 보유하고 있는 미 국채는 1조1710억 달러(약 1311조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월 대비 77억 달러(약 8조6202억원) 감소한 수치다.


중국은 미 국채를 최대 규모로 보유한 국가이며, 이는 곧 미국이 중국에게 가장 많은 빚을 지고 있다는 뜻이다.


실제로 지난 7월 기준 미 국채 보유 국가 1위는 중국(1조1710억 달러), 2위는 일본(1조355억 달러)으로 조사됐으며, 3위 아일랜드(3002억 달러), 4위 브라질(2997억 달러), 5위 영국(2717억 달러)이 뒤를 이었다. 사실상 일본을 제외하면 중국이 보유한 미 국채에 대적할 만한 국가가 없는 것이다.


중국은 5월부터 계속해서 미 국채를 매각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는 앞서 중국이 미·중 무역 전쟁에서 미국 경제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수단으로 국채 매각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실현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 <블룸버그> 등 외신은 “세계 1·2위 경제 대국이 벌이는 전쟁이 가열되는 와중에서 중국이 보유한 미 국채 보유액이 6개월래 최저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이 미 국채를 매각할 경우 시중에 미 국채가 공급되기 때문에 국채 가격이 떨어지며, 이는 금리 상승으로 이어진다. 이 경우 미국 경제 전반의 비용이 상승하면서 결국 미국 경기 침체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중국이 미 국채를 매각하는 행위는 중국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미한 수준이라는 근거를 들어 미·중 무역 전쟁 보복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내셔널얼라이언스증권 앤드루 브레너는 <CNBC>와의 인터뷰를 통해 “(중국의 미 국채 보유 감소 액수는) 반올림 오차 수준”이라며 “중국 정부는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에 대해 이런 식으로 불만을 표시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 입장이라면 연 2.80% 금리의 미국 국채 2년물을 보유하겠냐, 아니면 -0.53% 금리의 독일 국채 2년물을 보유하는 걸 선택하겠냐”고 오히려 반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CNBC> 등 주요 외신 역시 “미 국채 매각보다 관세·환율 카드를 먼저 사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