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이현주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전 세계 자동차 업계에 막대한 타격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미국 내 자동차 기업마저 관세 정책에 백기를 들고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무역 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자동차 산업이 위축되는 것은 물론, 이에 따른 경제 위축·고용 감소까지 우려해야 할 상황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3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이 미국 자동차 업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 정책으로 정작 미국 기업이 타격을 입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되며, 앞서 미국 대표 자동차 업체 포드가 중국에서 생산한 차량의 미국 판매를 포기하겠다고 선언한데 따른 것이다.


<CNN> 등 언론 보도에 따르면 미국의 유명 자동차 업체 포드의 북미지역 책임자인 쿠마 갈로트라는 “중국에서 생산한 포드 소형차 ‘포커스 액티브’의 미국 판매 계획을 철회한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 7월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서 수입한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해당 차량이 대당 500달러 이상 비싸진 탓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제너럴모터스(GM) 역시 고전중이다. GM은 지난 7월부터 중국에서 생산해 미국에서 판매하는 차량에 25% 관세 폭탄을 ‘직격타’로 맞고 있는 중이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변화하지 않는 이상 GM이 장기간 버티기는 힘들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에 대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글로벌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안으로 수익성이 낮은 소형차 생산을 인건비가 적게 드는 중국으로 돌렸는데, 관세 부과 조치로 인해 소용없게 됐다”며 “트럼프 대통령 당선 당시 인건비를 절감하려는 계획을 철회하고 미국 내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힘쓴 기업들은 지금 또다시 미·중 무역전쟁의 피해자가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 정책은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성장을 가로막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초 수입산 철강·알루미늄에 고율 관세가 부과되면서 생산 비용이 늘어났고 이에 따라 소비자 가격이 인상돼 판매 축소로 이어진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자동차 수요 전망 업체, LMC 오토모티브를 인용해 보도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6t 이하 자동차의 신규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9700만대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10년 이후 매년 평균 5% 이상의 증가폭을 기록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눈에 띄게 낮아진 수치다.


이러한 원인에 대해 전문가들은 세계 자동차 시장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유럽·중국 등에서 신차 판매가 부진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미국의 신차 판매는 -0.1%로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유럽 역시 지난해 상반기(4.7%)에 비해 대폭 하락한 2.9% 증가폭을 보였다. 중국 또한 1.2% 증가에 그쳤다.


이에 대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 정책이 미국 밖의 많은 시장에서 소비자 신뢰를 훼손했으며 계속된 글로벌 경제성장에 가장 큰 위협으로 비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미국과 멕시코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나프타) 개정 협상에서 자동차 부품 원산지 규정을 강화하면서 대미 수출에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멕시코에 생산 기지를 설립한 일본 자동차 기업인 도요타, 닛산, 혼다, 마쓰다 등이 혼란을 빚을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