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지혜 기자]국내 2대 철강업체들이 올 상반기 양호한 경영실적을 거뒀지만, 대내외적인 악재가 산재해 있어 업계 전반적인 상황을 낙관하기 힘들다.


31일 철강 업계에 따르면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 확산, 수요 산업 침체 등 대내외 악재가 작용하고 있음에도 국내 2대 철강업체인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좋은 성적표를 받았다.


포스코는 4분기 연속으로 영업이익 1조원을 기록했다. 올 2분기 포스코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1조252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9% 증가했다. 현대제철은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375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 증가했다.


이러한 실적의 증가는 대형 프로젝트 수주, 중국 철강업계의 구조조정에 따른 반사이익 등이 작용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이는 일부 철강업체의 실적일 뿐 철강업계 전반적인 시황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상반기 무역 관세라는 악재에 더해 하반기에도 자동차, 건설, 조선 등 수요 산업의 부진은 여전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자동차는 생산 감소의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고, 건설 경기 역시 하반기에 본격적인 하강 곡선을 그릴 것으로 예측된다. 조선 부문은 LNG선 등에서 수주를 늘려가고 있지만 여전히 해양플랜트 등의 악재가 사라지지 않고 있다.


또한,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되면서 통상무역 악재가 하반기 국내 철강업계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국뿐만 아니라 지난 19일 유럽연합(EU)에서도 세이프가드를 발동, 한국산 철강 제품에 대해 쿼터를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국내 업체들이 대체시장으로 공략해온 캐나다도 관세 부과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캐나다 국제무역재판소는 지난 24일 한국, 중국, 베트남산 철강 제품이 덤핑·보조금 등으로 캐나다 산업에 피해를 미치고 있다고 판단했다.


중국 역시 한국을 비롯한 4개국 철강 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개시한 상태이며, 국내 업체들의 수출 비중이 매우 높은 인도마저 세이프 가드를 검토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하반기에는 쿼터량 부족으로 두 달 이상 수출이 전무할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수출 감소가 내수 출혈 경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농후해졌다.


국내 정책도 철강업계에 악영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당초 올해 말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을 추진했다. 특히 전기요금이 많이 드는 철강업계로서는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 결정이다. 다만 철강업계가 보호무역 확산 등의 이유로 실적이 악화되면서 내년으로 연기된 상태지만 백운규 장관의 산업용 전기요금 조정 의지는 확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상황과는 대조적으로 미국, 중국, 대만 등 주요 철강 경쟁국들은 산업용 전기요금을 인하,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요금 체계를 개편하고 있어 국내 산업용 전기요금이 인상될 경우 국내 업체들은 가격 경쟁력을 잃어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문제다. 탄소배출권 거래제는 국가나 기업별로 탄소배출량을 미리 정해놓고 허용치 미달분을 탄소배출권 거래소에서 팔거나 초과분을 사는 제도를 말한다.


2030년 기준으로 산업계는 연간 1조원 이상 감축 비용을 추가해야 할 것으로 예측된다.


철강업계는 곳곳에 산재한 악조건들을 타개할 방안 모색이 절실한 상황이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