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이현주 인턴기자]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신흥국 위기설’이 계속해서 언급되고 있다. 당장 내달 미 연준이 금리 인상을 결정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14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언론보도에 따르면 “부채 만기가 짧고 부채 비용 증가를 감당할 여력이 부족한 신흥국의 경우 미국의 금리인상에 상당히 취약하다”고 진단했다.


또한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신흥시장의 GDP(국내총생산) 대비 부채 비율은 1980년대 남미 위기 수준에 도달했다. 기업 부채 역시 글로벌 금융위기가 본격화된 2008년 이후 3배 가량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미국의 금리인상 외에도 국제유가 상승, 미중 무역갈등, 중국의 채무위기 등도 신흥국 경제를 압박하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일부 신흥국의 취약성이 신흥국 전체의 위기로 확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을 포함한 몇몇 신흥국가들은 이미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아르헨티나는 2001년 사상 최악의 디폴트 사태를 겪은 이후 처음으로 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한 상태다. 최근 기준금리를 40%까지 올리며 페소화 폭락을 막으려 했지만 자금 유출이 계속돼 IMF는 협의에 속도를 내겠다는 입장까지 밝혔다.


문제는 연준이 올해 말까지 금리를 2~3차례 더 올릴 전망이라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업계에서는 미국이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달성하면서 금리인상 속도가 가속화될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데스먼드 래크먼 미국 기업연구소(AEI) 연구원은 “신흥국 정책담당자들이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대응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1980년대 남미, 1990년대 아시아를 휩쓴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이어 10년 만에 또다시 위기가 닥칠 수 있다는 ‘10년 주기 위기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신흥국들의 경제위기는 한국 증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달 한국 증시에서 외국인 투자자는 2조2040억원 가량을 순매도했다. 또한 지난 14일 코스피, 코스닥 시장에서 외국인은 약 1300억원을 순매도한 것으로 보아 이달에도 그 흐름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윤석헌 신임 금융감독원장 역시 신흥국 금융 불안을 감지하고 이에 대비하라고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15일 윤석헌 원장은 취임 후 첫 간부회의에서 "내달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 경제 펀더멘탈이 취약한 신흥국을 중심으로 통화 가치가 하락하고 CDS 프리미엄이 상승하는 등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원화 가치나 CDS 프리미엄이 대체로 안정적이지만 신흥국 불안이 심화될 경우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으로 확산할 수 있으므로 취약 신흥국의 현황과 금융회사 익스포저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