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새롬 기자]글로벌 경제가 지속적인 호황일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그동안 달러화에 베팅을 해왔던 투자자들이 유럽을 비롯한 신흥시장의 통화로 쪽으로 투자 노선을 변경하고 있다.


이에 대해 지난 2008년 이후 침체기를 보이던 세계 경제가 최근 일제히 회복세를 보이면서 “글로벌 투자 틀의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투자자들, 달러화에서 유로화와 엔화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4일(현지시간)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ICE달러인덱스가 지난 12일에 3년 여 만에 가잔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WSJ>는 지난해 ICE달러인덱스가 2003년 이후 13년 만에 최대 하락폭인 14%나 하락한 데 이어 올해 들어서도 계속 약세를 벗어나지 못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가운데 유럽중앙은행(ECB)과 일본은행(BOJ) 등 주요 중앙은행들이 지난 수 년 동안 시행해 온 양적 완화 기조에서 벗어나 통화정책을 정상화하는 움직임에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투자자들은 ECB와 BOJ 등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뒤를 이어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고 유로화와 엔화 베팅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지난 10여 년 동안 투자자들은 세계 경제가 침체기를 벗어나지 못함에 따라 안전자산인 달러화에 투자를 해왔으나 최근 뉴욕 증시를 포함한 세계 각국의 증시들이 일제히 랠리를 시작함에 따라 미국 달러화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WSJ>는 지난 10여 년간 달러화에 투자해온 투자자들의 패턴이 변화하고 있다고 풀이했다.


이와 관련해 마크 맥코믹 TD증권 환율 전략 부문 대표는 “현재 글로벌 금융시장의 전환에 대한 설명 중 하나가 달러화 약세”라며 투자자들이 일본과 유럽 등을 투자하고 싶은 장소로 꼽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행정부 감세법, 달러화 약세 불러와


한편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감세법에 따라 미국 기업들이 해외에 쌓아 둔 유보금을 대거 미국으로 들여올 것이라는 관측 역시 달러화의 가치를 떨어뜨리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새 감세법은 미국 기업들의 해외 유보금을 미국에 들여올 때 1회에 한해 기존의 35%였던 과세율을 14%로 낮춘다는 조항을 담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연준은 지난 2015년 12월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모두 5차례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했으며 지난해에만 세 차례의 금리인상이 있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달러화 가치가 오를 것으로 예상했으나 투자자들은 오히려 다른 통화 쪽으로 베팅을 바꾸고 있다.


헤이더 캐피털매니지먼트의 세드 헤이더 대표는 “미국 경제의 모든 긍정적인 요소들이 올해 달러화 가치에 실질적인 영향을 거의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달러화가 말레이시아와 칠레 등 원자재 생산국 통화에 대해 약세를 보일 것”이라고 관측했다.


아울러 시장부석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정책이 올해 달러화 약세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 정책으로 인해 재정적자 확대되고 이는 달러화 가치 하락을 초래할 것으로 보는 것이다.


반면 일각에서는 최근 달러화 약세가 지난 수년간 달러화 가치가 가파르게 올랐기 때문으로 풀이하고 있다.


실제로 ICE달러인덱스는 2011년 저점과 비교해 25% 가까이 상승한 상태로 미국 경제의 펀더멘탈에 비해 달러화 가치가 지나치게 높게 평가됐다는 것이다.


한편 미국 기업들은 달러화의 약세를 반기고 있다. 달러화 약세는 미국 상품의 수출 경쟁력을 높이기 때문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16년 대선 때부터 약 달러를 선호하는 입장을 고수했다.


아울러 달러 약세는 연준이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할 수 있는 보다 많은 여지를 줄 수 있다.


그러나 일부 투자자들은 달러 약세가 미국 경제에 대한 신뢰 기반을 흔들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WSJ>는 달러 약세가 미국 증시의 거품 논란을 촉발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급격한 달러화 가치 하락은 연준이나 투자자들의 원하는 수준 이상의 물가상승률을 야기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