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스페셜경제=김은배 기자]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함에 따라 우리 경제의 불확실성과 리스크가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금융시장도 변동성 확대가 예상되며 경계감이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는 21일 취임식에서도 “지난 수십년 동안 우리는 미국의 산업을 희생시키는 대가로 외국의 산업을 배부르게 했다”며 “미국 제품을 사고, 미국인을 고용하라”고 했다. 대선기간에 밝혀온 극단적 보호무역주의를 임기 중 실행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트럼프는 자국 산업 보호에 나서고 고용 확대를 위해 국경세 도입 등을 해 관세장벽을 높이고 FTA(자유무역협정)와 국제무역협정을 미국의 국익에 맞는 방향으로 재협상을 벌이겠다고 공약했다.


세계 10대 수출국인 우리나라로서는 큰 부담으로 작용할 사안이다.


우선 트럼프 행정부는 반덤핑 상계관세 등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경제의 불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공급과잉상태에 처한 철강, 화학제품 등이 주 표적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세계무역질서는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재편을 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FTA 재협상 등으로 한국이 그 한가운데에 있는 상황이다.


특히 트럼프는 대미무역 흑자 국을 향해 강력히 시정 요구를 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미수출액은 665억 달러, 수입액은 432억 달러로 233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대미 무역수지 흑자 축소를 요구할 수도 있다. 우리 수출에는 적신호가 켜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경상수지 흑자폭도 감소하게 되 강 달러로 자본유출 유인이 커지는 가운데 외환시장의 불안정을 키우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트럼프가 최우선 보호무역 대상국가로 중국과 멕시코를 지목한 것도 우리경제에는 위협요소가 된다. 트럼프가 선거 중 해온 발언이 현실화될 경우 중국산 제품에 45%의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


한국경제연구원 김현종 연구위원은 “중국의 대미수출이 감소할 경우 생산에 필요한 설비나 장비 등의 중간재를 중국에 수출하는 우리나라도 수출이 감소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