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홍찬영 기자]과거 가구 소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식료품 지출이 절반 가까이 줄고 교육비 비중도 감소세로 전환했다. 이는 1인 가구 증가와 출산율 감소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KEB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8일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국내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소비 트렌드 변화’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까지만 해도 전체 가구 소비에서 식료품 구입 비율은 26.6%로 가장 높았으나 2018년에는 14.0%로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특히 20~30대 가구주의 경우 27.3%에서 10.5%로 감소 폭이 컸다.

반면 외식·숙박 지출 비중은 1990년 8.2%에서 2018년 14%로 증가했다. 황선경 연구소 수석연구원은 “1인 가구, 맞벌이 가구의 증가와 평균 가구원 수의 감소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특히 출산율 감소, 만혼·비혼 추세로 인해 교육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가구의 교육비 부담은 사교육비의 증가로 1990년 8.2%에서 2009년 13.8%까지 상승했으나 최근 그 비중이 7.2%(2018년 기준)까지 내려왔다.

앞으로도 만혼·비혼과 출산율 감소가 지속될 전망돼 가구주 연령이 20~30대인 가구에서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고령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의료비 부담은 늘고 있는 추세다. 보건 관련 지출은 1990년 6.3%에서 2018년 7.3%로 증가했다. 특히 60대 이상은 7.1%에서 11.3%로 상승 폭이 컸다.

황선경 수석연구원은 "향후 60~70대 인구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 소비 지출에서 의료 및 보건관련 지출 비중은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진제공=뉴시스]

 

스페셜경제 / 홍찬영 기자 home217@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