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익 줄어도 본사에 대한 고배당 ‘펑펑’…국내 기부 ‘바닥’

[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일본의 수출규제로 인해서 한‧일 양국의 갈등이 극에 달하면서, 국내에서는 일본 기업들에 대한 불매운동이 걷잡을 수 없이 퍼지고 있다. 


이렇다보니 본사가 ‘일본’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는 기업들은 너도나도 할 것 없이 원래 계획됐던 제품 행사 등을 취소하는 등 몸을 사리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본사를 일본에 두고 있는 소니코리아 역시도 노이즈캔슬링 무선 이어폰(WF-1000M3) 출시행사를 진행하려고 했다 취소했다. 시기가 시기인 만큼 출시행사를 하기에 적절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각에서는 소니가 행사를 취소한 데에는 또 다른 ‘속사정’이 있다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앞서 소니는 지난 몇 년 동안 한국시장에서 적지 않은 매출이 올리는 것에 비해서, 사회공헌과 기부 활동이 적었다는 비판을 들어왔다.

 

더욱이 최근에는 실적부진과 부채비율 상승으로 재무건전성이 악화됐음에도, 본사에 대한 고배당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이러한 구조가 ‘국부유출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한일 관계가 악화됐을 때 국내에서 벌어들인 돈이 배당을 통해서 ‘일본’으로 흘러간다는 인식은 국내에서 반감을 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한 더 나아가서 이 문제로 소비자들이 소니코리아를 새로운 ‘불매운동’의 타깃으로 삼을 가능성도 농후하다. 결국 이러한 점 때문에 부담을 느끼고 소니가 대외적으로 이름이 오르내리는 행사를 취소하지 않았겠냐는 이야기다. 


이에 <스페셜경제>는 한‧일 관계 악화로 인해서 살얼음판을 걷고 있는 소니코리아에 대해서 짚어봤다.
 

영향 ‘미비’하다고 하지만 안심할 수 없어 
업계 “국부유출 논란 불거질 가능성 농후”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일본 기업’, ‘일본산 제품’ 뿐만 아니라 ‘일본 원료가 들어간 제품’까지 불매대상에 올리고 있다. 이렇다보니 기업들은 너나할 것 없이 일본과 관련돼 있다는 주홍글씨를 피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이렇다보니 국내 시장에 진출해있는 일본 기업들도 최대한 몸을 납작 엎드리고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본사가 일본’이라는 꼬리표가 달려있다면 언제든지 불매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시장 점유율 1위부터 3위까지를 일본 기업들이 차지하고 있는 카메라 업계에 불안함이 고조되고 있다. 현재 업계에서 가장 잘 나가는 소니, 니콘, 캐논 등 업체 3곳이 전부 일본기업이기 때문이다. 특히나 이곳 기업들 대부분 국내에서 높은 매출액을 올리면서도 사회 환원에는 인색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때문에 이들 기업 입장에서는 현 시국이 달갑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소니코리아는 지난 11일 잡혀있었던 노이즈캔슬링 무선 이어폰 출시행사를 돌연 취소하기까지 했다. 당시 소니코리아는 ‘내부 사정’ 때문이라고 밝혔지만, 업계에서는 한일 갈등이 극에 달하면서 몸을 사리는 것이라고 봤다. 

 

더욱이 과거 소니코리아 재무건전성 악화에도 불구하고 본사에 대한 도 넘은 고배당이 여러 차례 지적된 바 있다. 때문에 이런 상황에서는 다른 기업들보다도 불매대상이나 타겟이 되기 쉬울 수밖에 없다. 


‘부채비율’ 급등하고 실적 악화되는데 


실제로 지난해 소니코리아의 매출액을 1조 1995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136억 3965만원, 당기순이익은 103억 9400만 이었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액은 6.5%, 영업이익은 39.24% , 당기순이익은 42.19%가 감소한 것이다. 


또한 부채비율은 322%로 2년 연속으로 300%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2016년 192.27%를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100%포인트 이상이 늘어난 것이다. 문제는 이렇게 매년 실적이 악화돼가는 상황에서도 일본 본사에 대한 고배당은 계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소니코리아의 지분은 일본 소니오버시즈홀딩스가 100% 보유하고 있다. 때문에 소니코리아의 배당금 전체가 일본 본사로 고스란히 흘러가는 것이다. 물론 배당은 정상적인 기업활동을 하고 있다면 당연히 해야 하는 것이지만 소니코리아의 경우는 ‘배당금’이 그해 당기순이익에 맞먹는다는 것이 문제다.
 

소니코리아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104억원이었고, 일본 본사로 흘러간 배당금은 100억원이었다. 순이익의 95% 이상이 일본으로 흘러간 셈이다. 심지어 이러한 ‘고배당’은 하루 이틀일이 아니었다. 


최근 5년 동안의 배당액을 살펴보면 ▲2013년 1023억 ▲2014년 45억 ▲2015년 49억 ▲2016년 670억 ▲2017년 90억 등을 배당해왔다. 이러한 누적 배당금 액수는 1977억원에 달하고 있다.

국내 ‘기부’금액은 쥐꼬리?

이렇게 소니코리아가 국내에서 벌어들이는 돈의 대부분이 일본 ‘본사’로 흘러가는 가운데, 국내에서 사회 환원 활동은 거의 없다.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104억원이었지만, 그 중 국내 기부금액은 5957만원으로 0.4%에 불과했다. 지난 2017년도 기부금도 6000만원으로, 지난해와 별반 다를 바 없었다. 


이를 미뤄보면 알 수 있듯이 소니코리아는 국내에서 매년 조 단위의 매출을 올리고 있으면서도, 기부나 공헌 등 사회 환원 활동에는 인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물론 이런 모습은 본사를 해외에 둔 다른 기업들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는 있다. 문제는 소니코리아가 ‘일본계 기업’이기 때문에, 한일 관계가 악화됐을 때는 언제든지 이러한 행보가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해서 한 업계 관계자는 “아직까지 카메라 업계에서는 불매운동에 대한 타격은 없다”면서도 “하지만 일본계 기업 입장에서는 현재 한국은 다 지뢰밭이나 다름없다. 아주 작은 실수라도 하더라도 불매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지금도 인터넷이나 SNS 등에 돌아다니는 일본 기업의 목록에는 소니 등이 올라가 있긴 하다. 하지만 아직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소니를 불매하자는 운동이 벌어진 상황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소니코리아는 과거의 고배당이나 사회 기부활동이 전혀 없다는 점을 비춰볼 때 이러한 부분이 일파만파 퍼지면 언제든지 불매운동 대상의 중심에 설 수 있다”고 덧붙였다.

 

스페셜경제 / 선다혜 기자 a40662@speconomy.com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