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1일 일본 정부가 국내 일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소재 수출을 규제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하면서 업계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번 조치가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를 둘러싼 양국의 외교 갈등으로 인해 것이며, 규제 대상 소재의 대체제를 찾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한국이 최대 수출 시장인 만큼, 이러한 수출 규제는 결국 일본 소재 업체에도 타격이 클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날 일본 경제산업성은 한국으로의 수출관리 규정을 개정해 스마트폰‧TV에 사용되는 반도체 등의 제조 과정에 필요한 3개 품목의 수출 규제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여기에 포함된 품목은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풀루오린 폴리이미드 ▲반도체 기판 제작 때 사용되는 감광액인 포토리지스트 ▲반도체 세정에 사용되는 고순도불화수소(HF) 등이다.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와 포토리지스트의 경우 세계 전체 생산량의 90%, HF는 약 70%를 일본이 점유하고 있는 실정이다.

포토리지스트의 경우는 신에츠와 JSR, 스미모토, 호제스트 등 일본 업체들이 대부분 생산하고 미국 다우케미칼과 국내 동진씨메캠 등도 일부 생산하고 있다. 또 HF 역시 모리타와 스텔라 등 일본 업체가 시장을 거의 장악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솔브레인 정도가 생산 중이다.

이에 대해서 한 반도체 관계자는 “3개 품목은 국내 대기업이 일본에서 직접 수입하거나 중견‧중소기업체가 원재료를 수입한 뒤 가공해 대기업에 공급하고 있다”면서 “결국은 일본산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상황이 간단치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스플레이 업체의 한 관계자는 “수출을 금지하는 게 아니라 절차를 강화하겠다는 것이기 때문에 당장 큰 영향을 없을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만약에 상황이 장기화되거나 일본 정부의 추가 조치가 있을 경우 업계에 미치는 파장을 예측하기는 어렵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도 일본의 조치로 인해서 하반기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메모리반도체 가격 하락세로 인해서 비율은 줄어들었지만, 반도체와 디스플레이가 수출에 차지하는 비중은 약 22% 정도다.

일본 정부가 이번에 내린 결정에 대해서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한 업체 관계자는 “한국 업체의 생산이 어려워지겠지만, 마찬가지로 일본 소재 업체의 캐출에도 큰 타격이 있을 것”이라면서 “양국 업체를 같이 죽이는 조치를 바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시장이 침체기인 상황에서 한국 업체의 생산에 타격을 준다고 하더라도 일본이 반사이익을 얻을 가능성은 없다고 덧붙였다.

다만 일각에서는 일본 정부가 전면적인 수출 제한 조치를 실행에 옮길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스페셜경제 / 선다혜 기자 a40662@speconomy.com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