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출처=게티이미지뱅크]

[스페셜경제=이인애 기자]대내외 경기 둔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연내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도 시사되면서 보험업계 자산운용이익률 하락과 역마진 리스크 확대 등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금리가 하락하면 보험사가 적립해야 할 변액보험 보증준비금 규모도 늘어나고, 공시·예정이율 하락에 따라 보험 판매 유인 감소 가능성도 있어 보험사들의 자본부담 역시 늘어날 전망이다.

24일 금융권은 세계 각국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한국은행도 연내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16개 주요국의 중앙은행은 올해 3분기에만 금리 인하를 24차례나 단행했으며,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 18일 기존 2.00~2.25%였던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해 1.75~2.00%로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럽중앙은행(ECB)과 중국 인민은행 등도 이달 금리 인하를 실시한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이 같은 금리인하 기조는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 되면서 세계 경기 불확실성까지 확대된 영향이 크다고 전문가 등은 입을 모으고 있다. 이를 고려해 한국은행도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이라는 시각도 많아지고 있다.

앞서 한국은행은 기존 1.75%였던 기준금리를 지난 7월 1.5%로 인하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업계 전문가 등은 빠르면 내달 16일이나 오는 11월 29일 통화정책 회의에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한 차례 더 인하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처럼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보험사들의 수익성과 자본건전성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기준금리 하락 시 보험사들의 대출채권과 이자수취채권 등에서 자산운용이익률이 저하될 가능성이 현저히 높아지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보험사는 수입보험료를 채권 등에 투자해 운용수익률을 높이고 있는데, 보험사들의 자산운용이익률은 2000년대 초 6%대까지 치솟았다가 저금리 기조를 맞아 지난 6월 기준에는 3%대에 불과했던 것으로 집계됐다. 아울러 국고채 금리도 기준금리보다 낮은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2일 기준 국고채 1년·10년·30년 금리는 각각 1.108%·1.229%·1.242%에 불과했다.

특히 고금리 확정형 저축성 상품의 비중이 높거나, 최저보증 이율을 높게 제공하는 보험사들의 경우에는 금리역마진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어 우려되는 상황이다. 시장금리가 고금리에서 저금리로 변하면 보험사의 자산운용수익률 등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지만 과거 약속한 예정이율은 고금리이므로 이차역마진이 발생하는 것이다.

금리가 인하되면 또한 변액보험 가입자에게 사망보험금과 연금을 지급하기 위한 재원인 변액보험 보증준비금의 규모도 늘어나게 된다. 이 같은 변액보험 보증준비금은 시중금리에 따라 적립 규모는 변동되는데, 금리 하락 시 적립 규모가 늘어나며 금리 상승 시에는 적립 규모가 줄게 된다. 지난 2015년과 2016년에는 금리 하락폭이 컸는데, 해당 시기에 삼성생명이 부담했던 추가 변액 보증준비금은 약 4000억원 규모였던 것으로 집계됐다. 변액보험 판매 시점의 예정이율이 투자수익률보다 높으면 보험사는 그 차이만큼의 추가 준비금이 필요한 것이다.

이외에도 공시·예정이율이 하락하면, 보장성보험의 경우 보험료가 올라가고 저축성보험은 환급금이 줄어들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보험 판매유인 또한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보험연구원 조영현 연구위원은 “보험사는 초저금리 환경에 대비한 리스크관리 및 사업모형 전환을 추진하고, 금융당국은 보험사의 자구적 리스크관리를 유인하는 제도 및 산업 성장을 촉진하는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스페셜경제 / 이인애 기자 abcd2inae@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