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다정 기자]주거비 부담이 계속해서 증가하면서 신혼부부의 절반 이상이 대출을 받아 신혼집을 마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세대의 근로소득이 무섭게 뛰는 주거 비용을 감당할 수는 수준을 넘어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4일 발표한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4~2018년 결혼한 청년세대 부부 50.2%는 결혼 당시 대출은 받아 신혼집을 마련했다.

1998년 이전 결혼한 부모세대보다는 2014년 이후 결혼한 청년세대일수록 대출을 받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신혼집을 위해 대출은 받는 비율은 1998년 이전 결혼한 부부의 경우 16%에 불과했으나, 1999~2003년 22.9%, 2004~2008년 28.6%, 2009~2013년 36.2%까지 점점 증가하더니 2014~2018년에는 절반을 넘어섰다.

대출비율뿐 아니라 대출액수도 점점 커지는 추세다. 특히 1억원 이상의 고액대출 비율이 증가했다.

부모세대의 대출액은 3000만원 미만인 경우가 전체 76.4%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이후 2004년~2008년으로 결혼한 부부세대로 넘어오면서 3000만원 미만으로 대출을 받는 비율은 36.8%로 대폭 줄었다.

1억∼2억원 미만 대출의 경우 1998년 이전 결혼한 여성은 0.7%에 그쳤고, 1999∼2003년 결혼한 여성도 2.1%, 2004∼2008년 결혼한 여성 역시 7.2%에 불과했다.

하지만 2009∼2013년 결혼한 여성 15.8%로 오르더니 청년세대(2014∼2018년 결혼)로 와서는 34.7%로 올랐다. 청년세대 중에는 2억원 이상 대출받는 비율이 3%를 차지하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실제로 청년세대로 올수록 주거비용을 포함한 혼인비용에 부담을 느낀다는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비용이 부담됐다는 응답자는 1998년 이전 결혼한 여성의 경우 38.8%에 그쳤었다. 이후 1999~2003년 41.6%, 2004~2008년 44.2% 등으로 절반을 넘는 수준은 아니었다.

그러나 주택비용과 전세보증금이 폭등했던 2009~2013년부터 이 시기 결혼한 여성의 51.3%가 ‘부담된다’고 응답했으며, 2014~2018년 청년세대에 이르러서는 54.4%에 달했다.

최근 들어 신혼부부들의 주거형태 양극화 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시대가 흐를수록 자기 집에서 신혼을 시작하는 비율이 늘고있는 동시에 월세로 시작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결혼 당시 주거형태를 살펴보면 과거 1998년 결혼한 여성 중 자가(自家)로 신혼을 시작한 경우 1998년 이전에는 13.8%에 머물렀으나 이후 청년세대에 이르러서는 34.9%에 달했다.

이와 함께 주거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월세(보증부 월세·사글세 포함)로 신혼생활을 시작한 경우도 청년세대에서 16.5%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구팀은 “청년세대 신혼부부 사이에서 주거 마련과정에서 격차가 커지는 등 겷손 시잔의 양극화가 뚜렷해 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회 초년생 및 자산 축적 시간이 짧은 경우가 대부분인 미혼남녀에게 높은 집값은 스스로 극복할 수 없는 장애물”이라며 “신혼집 마련 대출 부담 증가는 청년들의 결혼을 가로막고, 결혼이후에도 출산을 가로막는 지속적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진제공=뉴시스]스페셜경제 / 김다정 기자 92ddang@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