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다정 기자]한일 무역 갈등이 장기화되면서 산업전반에 퍼지던 불씨가 이번에는 시멘트업계까지 번졌다.

시멘트업계는 국민감정을 고려해 일본산 석탄재 사용 비율을 낮추겠다고 나섰지만, 비용·물량 등 국내 발전사와 논의해야할 문제가 많아 국내산 대체가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석탄재는 화력발전소에서 석탄을 태우고 남은 재로, 산업폐기물에 해당하지만 시멘트 원료로도 쓰인다.

현재 국내 시멘트사에서는 시멘트 생산 원료로 점토 대신 대부분 석탄재를 사용하고 있어 석탄재가 없으면 시멘트 생산을 할 수 없다.

최근 한국시멘트협회가 연도별 시멘트 사용실적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국내 시멘트사가 사용하는 석탄재의 약 40%는 일본산이다. 지난해 기준 총 315만1000톤이 사용됐는데 이중 12만8500톤이 수입물량이다. 수입물량은 전량 일본산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환경부가 지난달 30일부터 일본산 석탄재 검사를 강화하면서 빠른 시일 내에 이를 대체할 국내산 석탄을 확보해야 한다.

앞서 지난달 8일 환경부는 방사능 오염 우려가 제기되는 수입 석탄재에 대한 통관 절차를 강화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지난 2일 강원도 동해시 동해항으로 들어온 4000톤 가량의 일본산 석탄재의 폐기물 시료에 대한 검사 과정을 언론에 공개했다.

검사 강화 이전에는 바로 공장 사일로에 저장돼 시멘트 제조의 원료로 사용됐지만, 이제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방사능 검사 결과가 나온 후에 사용이 가능해진다.
다.

석탄재 국내산 대체 본격화…해결해야 할 사안은?

이에 국내 시멘트사와 발전사는 통관 절차를 강화로 인한 타격을 줄이기 위해 일본산 석탄재를 국내산으로 대체하기 위한 협의를 환경부 주재 아래 진행하고 있다.

최대 관건은 시멘트사가 일본으로부터 수입한 물량을 국내 발전사에 충분히 조달할 수 있는지, 운송비 등은 어느 쪽이 부담하지는 등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시멘트사가 일본산 석탄재에 의존하는 데에는 시멘트업계가 주장하는 수급 부족의 문제뿐 아니라 비용 절감에 훨씬 유리하기 때문이다.

반면 국내 발전사는 폐기물을 매립해 처리하는 비용이 시멘트사에 보내 처리하는 비용보다 저렴해 대부분 매립을 택한다. 이로 인해 일부 시멘트사만 국내 발전사에 비용을 지불하고 석탄재를 구매하고 있다.

이는 시멘트사가 일본산 석탄재를 국내산으로 대체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환경부는 일본산 석탄재의 국내산 대체 방안으로 국내에서 매립돼 재활용되지 않고 있는 석탄재 활용과 대체재 발굴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시멘트업계, 화력발전소, 환경부의 3자가 포함된 협의체를 구성해 가동 중이다.

환경부는 앞서 지난달 29일 국회에서 열린 석탄재 토론회에서 국내산 석탄재를 재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이전보다 구체적인 안을 내놓은 바 있다.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석탄재 보관 시설을 발전소 내에 만들어 석탄재를 시멘트 업계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시멘트업계는 국내 발전사를 상대로 운송비 등 보조금을 지원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발전사들은 정부가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내려주지 않는 이상 추가 보조금 등을 지원해주는 건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향후 협의체에서는 시멘트업계가 우려하는 수급 부족과 추가 비용 문제 등을 협의체에서 해결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제공=뉴시스]

스페셜경제 / 김다정 기자 92ddang@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