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다정 기자]“‘버스대란’이냐, ‘요금인상’이냐.”

오는 7월부터 전국 시내버스에 적용되는 주 52시간 근무제를 두고 버스회사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큰 버스업체가 몰려있는 경기도에서는 불가피한 ‘요금 인상’안을 두고 발만 동동 구르고 있는 실정이다.

3일 국토교통부와 서울시, 경기도 등에 따르면 오는 7월부터 300인 이상 시내·시외버스 등 노선버스는 주 7일 기준으로 52시간 근로시간을 준수해야한다.

문제는 주 52시간 근로시간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근무를 1일 2교대제로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이미 준공영제를 도입해 1일 2교대제를 실시하고 있는 서울은 별 걱정이 없지만 경기도의 상황은 다르다.

300인 이상 버스회사가 20여개 몰려있는 데다가 대부분 격일제로 근무하고 있어 1일 2교대로 바꾸려면 상당수의 버스 기사를 새로 채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국토부와 버스업계에서는 경기도에 당장 필요한 버스 기사 인원만 3500여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행법상 시내버스는 중앙 정부가 재정지원을 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결국 요금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도도 시내버스 요금인상을 고려하고는 있으나 섣불리 요금인상을 단행하지 못하고 눈치만 보고 있는 상황이다.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을 하고 있는 서울과 인천을 빼고 요금을 올리기에는 부담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미 1일 2교대제를 시행하고 있는 서울시는 요금을 인상할만한 특별한 이유가 없어 요금 인상에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경기도만이라도 요금을 올려야 하지만, 이 경우 경기도민만 요금을 더 많이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만만치 않은 반발이 예상된다.

[사진제공=뉴시스]

스페셜경제 / 김다정 기자 92ddang@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