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지난해 7월 단행된 일본 정부가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품목 3종에 대한 수출 규제 조치가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대 품목 가운데 가장 핵심으로 꼽히는 액체 불화수소를 또다시 수출을 허가한 것이다.

이 때문에 일본 내부에서도 한국 기업들이 속속들이 소재 국산화 등 대체 공급원 발굴에 나서면서, 시장 잠식을 우려한 조치가 아니냐는 말이 나오고 있다.

10일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 일본 화학업체인 모리타화학이 지난 8일 고순도 불화수로를 한국에 수출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모리타화학은 지난달 24일 일본 정부로부터 수출 허가를 받고 지난해 7월 이후 이어진 수출규제에서 해소됐다.

해당 업체는 스텔라케미파와 함께 전세계 고순도 불화수소 시장을 양분하고 있으며, 한국 시장은 약 3분의 1을 점유하고 있을 정도로 큰 고객이다. 액체 고순도 불화수소는 반도체 웨이퍼 세척에 사용되는데, 한국 화학소재기업 솔브레인이 최근 국산화에 성공하면서 국내 물량조달 우려가 해소된 상태다.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가 단행된 이후 국내 기업들은 대체 공급원을 발굴하거나 주요 원료를 국산화하려는 시도를 계속해왔다. 그 결과 국산화에 성공하거나 중국이나 유럽 등지에서 대체할 수 있는 곳을 찾으면서 일본 산업계에서도 시장 잠식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앞서 일본 정부도 수출 규제조치 이후 3대 규제품목 가운데 포토레지스트를 비롯한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에 대해서는 수출은 승인했지만, 액체 불화수소는 각종 서류를 요구하면서 허가를 미뤄왔다. 그러던 중 일본 산업계의 우려로 지난해 11월 수출(스텔라케미파)을 처음으로 허가했다

실제로 모리타 야스오(森田康夫) 모리타화학 사장도 “(수출규제 강화가) 일본 기업의 점유율을 낮추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말을 하기도 했다.

한편,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전날 듀폰이 한국에 포토레지스트 생산시설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니혼게이자 신문은 “듀폰과 같은 움직임이 늘어나면 일본 기업의 경쟁력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스페셜경제 / 선다혜 기자 a40662@speconomy.com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