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이인애 기자]금융감독원이 해외 금리연계형 파생결합펀드(DLF) 사태와 같은 금융사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작년 1월 구성했던 ‘부원장 협의체’ 기능을 강화한다고 전했다. 앞으로 금감원은 매달 각 부원장에게 핵심 과제를 부여한 뒤 시장에서 보내는 신호에 대해 더욱 민첩하게 대응하고, 금융사고 발생 시 담담 부원장이 책임을 지게 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금감원이 DLF 사태를 미리 감지하지 못해 피해 규모를 키운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 데 따른 것이라고 전문가 등은 입을 모으고 있다. 금감원은 부원장 협의체 기능을 강화해 고위험, 불완전 상품 등 시장에서 보내오는 위험 신호를 사전에 감지해낼 수 있게 시스템 강화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부원장 협의체는 작년 1월 최흥식 전 원장의 지시로 처음 도입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 후 은행·중소서민 담당 부원장과 금융투자 담당 부원장이 각자 전 권역의 건전성 감독과 영업행위를 총괄하게 되면서, 해당 체계의 운영과 공조의 효율성을 위해 부원장 협의체가 만들어진 것이다. 그 후 한동안은 개최되지 않다가 김기식 전 원장이 사퇴한 이후 작년 4월, 수장의 공백 사태를 메우기 위해 본격적으로 가동됐던 바 있다.

현재까지 부원장 협의체는 한 달에 한 번씩 열리고 있는데, 형식적인 정보 공유와 권역별 관심사 나누기에 그쳤다는 평가가 있었다. 시장에서는 이 때문에 자연스럽게 시장에서 일어나는 위법행위들이나 소비자 민원 등에 대해서는 관심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부원장 협의체 기능을 강화하는 데 있어 조직개편이 크게 이뤄질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금감원 한 관계자는 “합적 검사와 정보공유, 소비자 민원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피드백 등을 위해 소규모의 조직개편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현재까지 대대적인 조직개편 가능성은 거론되지 않고 있다”말했다.

 

 

스페셜경제 / 이인애 기자 abcd2inae@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