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 = 김은배 기자]보험회사에 신규 적용되는 강력한 자본건전성 규제 ‘신지급여력제도(K-ICS·킥스)’가 초안대비 다소 완화됐다. 2022년에 도입한다는 기본 계획은 유지하되 10년에서 20년 정도의 충분한 ‘완충기간’을 주겠다는 것.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지난 27일 ‘보험 자본건전성 선진화 추진단’ 2차 회의를 갖고 이같은 방침을 정했다. 킥스는 보험사 재정이 건전한지를 보여주는 수치로 두르 쓰이는 지급여력(RBC)비율을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에 맞게 개선한 지표다. 자산과 부채를 모두 시가로 평가하는 등 기준이 까다로워 현재 기준에서 정상적인 보험사가 장부상 부실회사로 인식될 수도 있다.

금융당국은 킥스 도입 시 곧장 전면 적용하지 않고, 충분한 경과기간을 설정해 단계적으로 적용하겠다는 입장이다. 시행 첫 2~3년간은 RBC비율과 병행 운영키로 했다. 킥스가 롤모델로 삼은 유럽연합의 솔벤시Ⅱ 또한 2016년 도입하고도 2032년까지 경과기간을 마련한 점 등을 고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위 손병두 부위원장은 “급격한 자본건전성 강화가 오히려 금융체계에 충격으로 작용하는 ‘건전성의 역설’이 나타나선 안 된다”면서 ”보험사가 예측 가능하고 지킬 수 있는 수준으로 제도를 설계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보험사들도 킥스 시행 초기부터 금감원 권고치(150%)를 안정적으로 넘을 수 있게 사전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작년 4월 공개된 킥스 초안을 국내 보험사에 적용했을 땐 부실(100% 미만)로 판명되는 곳이 다수 나왔다. 이에 이날 회의에서는 초안을 개량한 ‘킥스 2.0’이 제시됐다.

계산법을 일부 조정, 보험사별 수치가 다소 높아진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에 ‘킥스 3.0’을 내 놓을 예정이며, 이와 별개로 채권평가손익 인정기준 개선안을 3분기에 마련한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