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 = 원혜미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의 발전소 부실시공 탓에 원전이 3009일 동안 정지되고 이로 인해 한국전력공사가 최소 1조4000억원의 손실을 입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김성환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 노원구병)은 14일 한국수력원자력 국정감사에서 “한수원의 부실시공으로 발생한 격납건물 철판 부식 및 콘크리트 공극 문제의 점검·보수를 위해 지난 3년 반 동안 14기 원전의 추가적인 정지일수가 3009일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지난 3년 반 동안 원전 가동률과 예측 못한 정지 일수>

 

2016

2017

2018

2019

합계

비고

가동률 (%)

80%

71%

67%

79%

 

~`19.6월까지 가동률

1) 불시정지

79

51

65

39

233

통상적

2) 중간정비

46

94

18

 

157

통상적

3) 파급정지

306

 

 

 

306

이례적

4) OH 계획 대비 연장일수

630

2,774

847

31

4,281

매우 이례적

  4-1) 격납건물 철판 부식 및 크리트 공극 문제로 한 점검 및 보수로 해 연장된 OH 일수*

554

1729

698

29

3,009

전체 OH 지연일수의

70% 기여

출처: 한국수력원자력에서 제출한 자료 바탕으로 김성환 의원실 재구성

*해당 년도의 연장된 OH일수가 아닌 해당년도에 시작된 OH연장 일수를 2019년 6월 30일 기준으로 계산

 

한수원이 김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19년 6월까지 연료교체 및 설비점검을 위해 통상적으로 실시하는 계획예방정비(OH) 외에 추가적으로 불시정지, 중간정비, 파급정지, 계획예방정비 연장으로 인한 전체 원전의 총 정지일수는 4977일이다.

김 의원은 “불시정지 및 중간정비로 인한 정지일수 352일은 통상적인 수준이고, 2016년 9월 12일 발생한 경주지진으로 인한 파급정지 일수 306일은 이례적이지만 길지 않은 기간인 반면 통상적인 정비 외에 심각한 안전문제 발생으로 정비 기간이 4281일이나 더 연장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특히 늘어난 일수의 70%인 3009일이 부실시공에 의한 격납건물 철판 부식 및 콘크리트 공극 문제로 발생해 위 두 가지 안전 문제가 지난 3년간 한수원의 원전 가동률이 하락하는데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격납건물 철판 부식 및 콘크리트 공극으로 원전 가동이 정지된 2980일 동안 한국전력은 기저전력임에도 정지된 14기 원전 대신 석탄과 천연가스 발전에 의한 전력을 구입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며 “이에 따른 한전의 추가 전력구입 비용은 원전전력의 부족분을 전부 석탄전력으로 대체했다고 보수적으로 계산해 원전과 석탄의 정산단가 차이인 20원을 적용한다고 해도 최소 1조4000억 원의 추가전력구입비용을 한전이 지출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지난 3년간 한국전력의 당기순이익>

 

2016

2017

2018

한전

71,483억원

14,414억원

- 11,745억원

출처: 한국전력 

 

<탈원전 정책에 따른 원전 규모 변화>

 

(사진제공=뉴시스, 김성환 의원실)

 

스페셜경제 / 원혜미 기자 hwon0611@naver.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