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도심 아파트 단지 |
고령자 복지주택은 65세 이상 저소득 노인들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으로 주거지 내에서 편리하게 복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국토부는 지난 1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범부처 인구정책TF의 국토분야 과제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국토부 방안에 따르면 내년까지 고령자 복지주택 20개소 2000호 조성이 추진된다. 올해 10개소 조성을 우선적으로 추진, 내년엔 10개소를 추가로 더 늘릴 계획이다. 해당 사업을 위해 올해의 2배 수준인 122억8500만 원이 투입된다.
또 인구구조 변화를 고려해 기존 주택수급 전망(2018년 6월) 재검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기존 가구추계를 보정하고, 그에 따른 주택수요를 재추정할 계획이다. 가구주 연령대별, 지역별, 가구원수별 등 분석 단위를 세분화해 주택 수요를 추정할 예정이다.
아울러 수요가 몰리는 도심지역 주택공급도 확대 적용키로 했다.
주거 및 상업, 생활편의시설 등 인프라를 갖춘 복합 주거공간 조성을 확대해 도심 내 정주여건 개선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상업·준주거지역의 주거용 건축물 용적률 상향을 비롯해 지하철역사나 도심 공공부지 등을 대상으로 한 복합개발도 늘릴 방침이다.
국토부 이병훈 공공주택총괄과장은 “빠른 인구구조 변화를 고려해 주거와 복지 서비스를 함께 지원하는 고령자 복지주택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스페셜경제 / 홍찬영 기자 home217@speconomy.com
[저작권자ⓒ 스페셜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