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현대·신한·롯데·하나 'ESG 채권 발행'
카드업계 채권 발행 1.6조...'전년比 3배↑'

▲1일 업계에 따르면 하나카드가 2000억원 규모의 ESG 채권을 발행했다. (사진출처=게티이미지뱅크)

 

[스페셜경제=이정화 기자]카드업계에도 금융시장 트렌드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열풍이 불고 있다. 사회적 책임을 위한 ESG 채권 발행이 줄을 잇고 관련 특화 상품이 출시되는 등 계속해서 카드사들의 ESG 경영 확대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하나카드가 2000억원 규모의 ESG 채권을 발행했다. 중소.영세 가맹점 금융지원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해서다. ESG 채권은 환경(E)과 사회(S), 지배구조(G) 개선과 관련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으로 '사회책임투자 채권'이라고 불린다.

하나카드는 이번 ESG 채권을 전액 3년이상 장기 사채로 발행한 만큼 ▲중소·영세 가맹점 금융 지원 ▲재난/재해 피해 고객 등 취약계층 금융 지원 ▲스타트업 기업 지원 프로젝트 ▲친환경 운송수단 관련 금융서비스 등 사회 가치 창출을 위한 안정적인 자금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있다.

올해 국내 카드사들은 ESG 관련 채권을 줄줄이 발행하고 있다. 금융업계가 코로나19 같은 예상치 못한 리스크를 마주하면서 ESG 채권이 안정적인 자금 확보 방안으로 떠올랐단 분석이다. 미국과 유럽 등 해외 기관 투자자들의 경우 친환경·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 ESG 채권이 건강한 수요 및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는 실정이다.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국내 카드사의 ESG 채권 발행 규모는 1조6090억으로 전년도 전체 발행 규모에 비해 9350억원(138.7%) 늘어난 수치를 기록했다.

롯데카드도 지난달 23일 영세·중소 가맹점 금융 지원을 목적으로 1500억원 규모의 소셜 본드(Social Bond)를 발행했다. 소셜 본드는 사회적 취약 계층 지원, 일자리 창출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발행하는 특수목적채권으로 ESG채권의 한 종류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MBK 파트너스의 인수 이후 영세·중소 가맹점주를 돕기 위해 첫 ESG채권을 소셜 본드로 발행했다"며 "조달한 자금은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맹점의 카드결제대금 조기 지급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KB국민카드가 6월 1000억원 규모의 ESG 채권 발행에 이어 10월에도 1500억원을 추가 발행하고 ▲현대카드 역시 9월 4500억원 규모의 그린본드를 ▲신한카드는 5월 1000억원 규모의 ESG 채권을 발행했다.

국내 ESG채권의 발행규모는 2018년 1조 2019년 3조6000억원 2020년 상반기 3조4000억원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ESG채권은 일반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발행금리에 자금 조달이 가능하다"며 "국내외 이미지 제고 효과와 다양한 자금조달 경로 확보는 물론 ESG경영 강화와 수익성에도 도움돼 카드사 뿐 아니라 은행이나 지주, 캐피탈사 등 금융권 내 ESG채권 발행은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일부 카드사는 ESG 전략을 실천하기 위해 환경 보호에 중점을 둔 카드 상품을 출시했다.

KB국민카드는 지난달 30일 친환경 소비에 동참 및 기부할 수 있는 ESG 특화 상품 ‘KB국민 EVO 티타늄 카드’를 선보였다. 해당 카드는 전기차와 수소차 관련 혜택 등 주요 친환경 업종 이용 시 포인트 적립 혜택이 제공되는 것이 특징이다. 카드 이용을 통해 적립되는 포인트로 환경 전문 공익 재단인 ‘환경재단’에 기부도 가능하다.

국민카드는 해외에서도 ESG 활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캄보디아·미얀마·인도네시아에서 장학금 및 의류, 생활용품 전달 등 현지화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업계는 코로나19로 닥친 전례없는 위기 속에서 ESG 경영 전략을 통해 '지속 가능한 금융사'로 자리매김 하고 다양한 시장로 진출하는 등 계속해서 수익성을 확보해나갈 전망이다.

송승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금융기관들이 한국판 뉴딜에 참여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ESG 채권을 통한 자금조달이 커질 것"이라며 "재생에너지, 전기차 배터리 사업 등 향후 먹거리 사업으로 각광받는 친환경 사업투자와 연계된 채권발행도 확대될 전망이다"고 전했다.

 

스페셜경제 / 이정화 기자 joyfully7@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