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한국전력공사가 올해 2분기 2986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상반기 전체로 보면 9285억원의 적자를 내면서, 고(高) 유가 탓에 2조 3000억원의 적자를 냈던 2012년 이후 최악의 상반기 실적을 기록하게 됐다.

14일 한전은 올해 2분기 매출 13조710억원, 영업손실 2986억원, 당기순손실 4121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그나마 6871억원의 적자를 냈던 2분기에 비해서는 적자폭이 줄어들었다.

이에 대해 한전 측은 “원전 이용률 대폭 상승과 발전용 액화천연가스(LNG) 가격 하락 등이 원인”말했다.

원전 이용률은 지난해 2분기 62.7%까지 하락했다가, 올 2분기 82.8%까지 올랐다. 한전은 매 분기 1조~4조우너의 영업이익을 내는 초우량기업있다. 하지만 현 정부의 탈 원전 정책이 본격화됨에 따라서 지난 2017년 4분기부터 적자로 돌아섰다. 지난해 3분기를 제외하면 매 분기 수천억원대의 적자를 내고 있는 상황이다.

탈원전으로 멀쩡한 원전을 예방정비 명목으로 가동 중단하면서 적자가 누적된 셈이다. 올해 2분기 원전 가동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적자를 본 것은 정부의 미세먼저 대책으로 석탄발전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LNG에 비해 연료가 40% 정도 싼 석탄발전 이용률은 지난해 2분기 65.4%에서 올해 2분기 58.6%로 하락했다.

한전은 여름철 전력 판매량이 증가하면 하반기에는 실적이 개선될 것을 예상했다. 하지만 정부가 7~8월 주택용 전기료 누진제 완화에 따라서 3000억원의 비용을 한전에 부담하게 됨으로서, 지난해 3분기와 같은 반짝 흑자는 기대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한전으로서는 전기요금 인상을 기반으로 반등의 계기를 만드려고 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낭노다.

실제로 이날 한전은 “지속 가능한 전기요금 체계를 준비해서 정부와 협의, 내년 상반기까지 진전을 이루려 한다”며 전기요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뜻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한전은 필수사용량 보장 공제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필수사용량 보장 공제는 전기사용량이 월 200kWh 이하인 소비자에게는 월 4000원 한도로 요금을 깎아주는 제도다.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과 관련해서 한전 관계자는 “전기요금 인상은 단기적인 실적으로 인해 결정될 수 없고, 다양한 상황을 고려해 결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즉답은 피했다.

그러면서도 “합리적인 안을 만들어 정부와 협의를 거쳐 내년 상반기까지 진전을 이루려고 한다”면서 “준비를 세밀하고 착실하게 해서 지속가능한 전기요금 체계가 되도록 준비하겠다”고 덧붙였다.

 

스페셜경제 / 선다혜 기자 a40662@speconomy.com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