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후쿠시마 원전 사고, 오염수 안전한가' 그린피스 수석 원자력전문가 숀 버니 기자간담회에서 숀 버니 수석이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위험성을 설명하고 있다. 2019.08.14.

[스페셜경제=김수영 기자] 일본 후쿠시마에 쌓인 방사성 오염수가 바다에 방류될 경우 방사성 물질의 일부가 1년 내 동해로 유입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숀 버니 그린피스 독일사무소 수석원자력 전문가는 14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지난해 8월 일본 가나자와대학 이노마타 야요이 교수 등이 국제 학술지 ‘해양과학(Ocean Science)’에 게재한 논문을 소개했다.

이노마타 교수 등은 논문에서 “후쿠시마 사고 당시 방류된 방사성 물질이 표층수를 통해 남중국해를 거쳐 동해로 들어오는데 약 1년 정도 걸린다”고 진단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일본 열도 남쪽 ‘아열대 수괴(水塊:해양에서 물리·화학적 성질이 거의 같은 해수모임)’로 들어간 후쿠시마 방사성 물질도 몇 년에 걸쳐 동해로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열대 수괴로 방류된 세슘(Cs)-137의 양은 4,200조 베크렐(Bq)이며 이 중 약 5%에 해당하는 200조 Bq이 2016년 이전에 이미 동해로 유입된 것으로 추산되기도 했다. 동해로 유입된 200조 Bq 가운데 90조 Bq는 다시 북태평양으로 빠져나갔고, 30조 Bq는 연해주를 통해 사할린 쪽으로 흘러나갔다.

나머지 90조 Bq는 동해에 남아있는 셈이다.

버니 수석전문가는 “후쿠시마 제1원전에는 매주 1,497㎥의 방사성 오염수가 늘고 있고, 지난 1일을 기준으로 총 104만9,767㎥의 오염수가 저장돼 있다”며 “아베 정권은 이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류할 계호기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염수 100만㎥을 바다에 흘려보내려면 17년에 걸쳐 물 7억7천만 톤을 쏟아 부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해양오염 없이 방류할 수는 없다”며 “오염수가 해류를 타고 바다를 순환, 태평양 연안 국가들도 방사성 물질에 노출될 수 있고, 한국은 위험에서 벗어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베 내각은 비용을 줄일 목적으로 최적합 기술보다 값싼 기술을 고집하다 제염(방사성 물질 제거)에 실패했다”면서 “3중수소(트리튬)를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은 비싸다고 포기해 오염수를 처리하지 못하더니 이제 바다에 오염수를 버리려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위험으로부터 국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에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한 설명과 정보를 요구할 권리가 있고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탈핵에너지전환 국회의원모임’의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대표는 “일본 정부가 오염수 처리에 실패한 사실을 몇 년 동안 숨겨온 상황에서 후쿠시마가 안전하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은 신뢰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사진 뉴시스>

스페셜경제 / 김수영 기자 brumaire25s@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