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G 개통을 위한 안테나 설치 공사가 23일 서울 중구 을지로입구역 터널에서 진행되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스페셜경제=최문정 기자]통신3가 5세대 이동통신(5G) 확대를 위해 손을 잡았다.

23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통신3사와 정부, 지자체는 정부의 포스트 코로나 경기부양책인 ‘한국형 뉴딜’ 정책의 일환인 ‘디지털 뉴딜’을 위해 손을 잡았다. 이들은 디지털 사회 간접자본인 5G 망을 빠르게 설치해나갈 방침이다.

통신3사는 수도권 2‧9호선과 광주‧대전‧부산 지하철 노선에 5G 설비를 공동 구축해왔다. 지난 1월 광주 지하철 전 노선에 5G 설비를 공동 구축하고 서비스 개통을 시작한 이래 대구, 대전, 부산 등 비수도권 노선에 5G 설비를 마련했다.

또한 수도권 시민들의 발 역할을 하고 있는 수도권 9호선도 5G 개통이 완료됐다. 수도권 2호선의 경우 석면‧내진설계 보강 등 공사가 진행 중인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8월부터 순환선 전 구간에서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통신3사는 “내년 중반까지 나머지 노선도 순차적으로 5G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하철에 5G 설비를 구축하기 위해 통신3사와 정부 지자체는 심야 작전을 펼쳐왔다. 통신 설비를 구축하는 공사는 안전을 고려해 지하철이 끊긴 새벽 시간에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어두운 터널 내에 광케이블, 전원설비 등의 장치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고난이도의 작업이다.

또한 ‘잘 휘어지는’ 5G 주파수 특성 상 4세대 이동통신(LTE)에 비해 더 많은 기지국이 필요하다. 지하철 선로에 평균 150~200m 간격으로 촘촘히 장비를 설치해야 정상적인 서비스 사용이 가능해 공사시간은 더욱 길어질 수밖에 없다.

통상 통신3사 엔지니어들이 지하철역과 역 사이의 구간에 5G 기지국 공사를 마치려면 평균 12~18회 정도 지하철 철로로 내려가야 한다. 실제로 작업할 수 있는 시간은 하루에 2~3시간에 불과하다. 지하철 철로의 깊이는 평균 19.3m다. 가장 깊은 곳은 55m에 달한다. 또한 설치 장비와 기기를 직접 가지고 내려가야 해 체력 부담도 크다.

통신사 관계자는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과기정통부‧서울교통공사‧서울시 등 정부 및 지자체 등의 적극적 협조 하에 SKT‧KT‧LG유플러스는 지하철 노선과 역사를 나누어 5G 기반 시설을 공동으로 구축하는 등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5G 설비를 공동으로 구축할 때 주관사는 공사 인허가 협의와 광케이블, 급전선, 전원 설비 등의 기반시설 공사를 전담한다. 주관사가 기반 공사를 마치면 주관사와 참여사가 각 회사의 기지국 장비를 설치‧연동한다. 이 방식을 통해 네트워크 구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처럼 5G 시설 구축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5G가 디지털 뉴딜의 ‘데이터 고속도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5G는 데이터 댐에 모인 수많은 데이터가 다양한 서비스 창출로 연계되기 위한 ‘데이터 고속도로’로서 디지털 뉴딜의 핵심 인프라”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통신3사는 지난해 세계 최초로 5G를 상용화한 데 이어 실질적으로 5G 인프라를 확대하기 위해 적극적인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통신3사는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어려움 속에서 5G 인프라를 늘리기 위해 5G 조기 투자 노력과 유동인구 밀집지역, 주요 고속도로, 공항, 빌딩 등에 5G 인프라를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올 하반기 통신3사는 작년 5G 상용화를 위한 투자비용과 비슷한 수준의 투자 규모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5G 데이터 고속도로’ 확장에 주력할 계획”이라며 “5G 인프라 확대뿐 아니라 기술 고도화, 혁신적인 5G 서비스 개발 등에 집중해 경제 혁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페셜경제 / 최문정 기자 muun09@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