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 = 김봉주 기자] 미·중 무역전쟁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를 통해 재점화한 뒤 전세계적인 증시 하락으로 해외 주식형 펀드들이 저조한 성적표를 받아든 가운데, 중국의 대체 생산기지로 주목받아온 인도와 베트남 펀드들은 상대적으로 선방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26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베트남 펀드는 최근 한 달(4월 25일~5월 24일) 동안 2.1%, 인도 펀드는 1.57% 수익률을 냈다. 반면 금년 초 수익률이 급반등했던 중국 펀드는 한 달간 9.5% 떨어졌으며 일본(-3.81%), 유럽(-2.65%) 등 주요국 펀드들이 모두 마이너스 수익률을 면하지 못했다. 달러 강세에도 북미 펀드마저 S&P500지수 하락폭을 메꾸지 못해 수익률 -0.74%로 집계됐다.

인도와 베트남 펀드의 수익률 선전은 금년 초와는 사뭇 다른 흐름이다. 이번해 들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스탠스 완화 수혜를 봤던 여타 신흥국들에 비해 두 국가는 상대적으로 주가가 부진했다. 그러다 최근 중국을 대체할 수 있는 생산기지로서 매력이 부각되면서 글로벌 대세 하락장에서도 잘 버텨내고 있다. 애플은 이번 해 안에 생산기지(폭스콘 공장)를 중국에서 인도로 옮기겠다고 밝혔다.

베트남도 최근 진행되고 있는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으로 역내 관세가 떨어지면 중국의 생산기지가 이전되는 효과가 더욱 힘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인도나 베트남의 이익 전망치가 중국에 비해 나아지고 있다는 점도 주가를 받치는 요인이다. KB증권에 따르면 12개월 선행 주당순이익(EPS)이 3개월 동안 베트남은 5.4%, 인도는 4.2% 상승했다. 불안한 글로벌 증시 환경에서도 양호한 내수시장과 수출로 상장사들의 실적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도는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재집권으로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됐고 제조업 육성책도 큰 어려움 없이 추진되고 있어 주가 상승 여력이 신흥국 가운데 가장 많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 23일 인도 센섹스지수는 모디 총리의 인도국민당 압승이 전망되면서 주가가 장중 4만선을 넘기기도 했다. 인도 중앙은행은 지난 4월 집권당이 재선에 성공하면 추가 금리 인하를 추진하겠다고 밝혀 앞으로의 인도 증시에 초록불이 켜졌다는 관측이다.

센섹스지수의 활황에 따라 미래에셋인디아디스커버리펀드는 연초보다 수익률이 13.31%, 피델리티인디아증권펀드는 13.09%를 집계되기도 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스페셜경제 / 김봉주 기자 seraxe@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