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뉴시스]

[스페셜경제=이인애 기자]금융감독원이 라임자산운용의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를 실사하며, 이번 사태는 이전의 금융 사고들과는 성격이 다른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을 내놨다. 일단 손실 규모가 1조원 이상으로 워낙 큰데다가 사기·횡령 등 불법 행위 또한 확인됐기 때문이다. 특히 실사를 이어갈수록 강해지는 은행 책임론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라임자산운용이 환매를 중단한 펀드는 무려 1조5600억원 규모로, 이 중 개인이 돌려받지 못 하는 돈만 해도 9170억원에 육박한다. 이 같은 상황으로 미루어 봤을 때 금융당국은 약 70% 정도의 손실률이 나타날 것이라며 예상 손실액은 1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는 입장이다.

폰지사기·수익률 조작…투자자에겐 ‘비밀’

특히 라임자산운용의 이번 사태는 신규 투자자의 자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이익을 지급하는 다단계 금융사기인 폰지 사기와 수익률 조작 등의 불법적 행위까지 의심되는 상황으로, 해결까지 상당히 복잡한 단계가 예상된다는 게 전문가 등의 분석이다.

금융당국은 라임 측이 비상장 기업에 돈을 대주고 해당 기업이 라임운용 보유 부실 자산을 인수하도록 하는 형태로 수익률 조작을 이어온 것으로 보고 있다는 입장이다. 이 부실 자산은 소위 말하는 좀비기업의 전환사채나 신주인수권부사채 등이다. 이들은 부실 채권을 보유해 펀드 수익률 하락이 심각하게 예상되기 때문에 이를 처분해 수익률을 높이는 방식을 택한 것이다.

현재 라임운용사태의 가장 큰 문제로는 이 같은 사실을 투자자에게 의도적으로 속여 판매한 점이라고 전문가 등은 입을 모으고 있다.

실제로 라임운용 측은 6000억원(개인 2400억원)의 무역금융펀드를 글로벌 무역금융투자 회사 인터내셔널 인베스트먼트 그룹(IIG)에 투자했는데, 이 IIG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폰지 사기 의혹 관련 자산 동결 조치를 받은 바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사실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라임운용 측은 투자자들에게 알리지 않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 [이미지출처=게티이미지뱅크]

DLF 이어 은행 신뢰↓…이번엔 불완전판매 아닌 ‘금융사기’?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금융산업 전체에 대한 신뢰도 흔들리고 있다.

이처럼 문제가 많은 펀드를 은행과 증권사 등에서도 판매를 했다는 것이다. 금감원 조사 결과를 보면 작년 7월 말 현재 판매사들이 판매한 5조7000억원의 라임자산운용 사모펀드 판매 잔액 가운데 은행이 판매한 양은 무려 전체의 34.5%인 2조원 가량으로 집계됐다. 일반적으로 은행에서 판매하는 사모펀드고 7% 안팎인 점을 감안하면 무려 5배나 높은 비중인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최근 DLF 사태 등으로 신뢰도를 잃어가던 은행에 대한 불신이 커질 수 있는 상황이다.

실제 라임 펀드 투자자 일부는 은행에서 가입 시 사모펀드라는 사실을 알지 못한 채 가입했거나, 원금 손실에 대한 가능성을 전해 듣지 못 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현재 인터넷 상에 개설된 라임 펀드 피해 투자자 카페의 회원 수는 950명을 넘어섰을 만큼 문제는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업계 한 전문가는 “라임이 실제로 고객을 속인 것으로 최종 결과가 나온다면 문제는 더 심각해질 것”이라며 “지금가지 상황으로 보면 단순한 불완전 판매가 아니라 금융사기”라고 말했다.

 

 

스페셜경제 / 이인애 기자 abcd2inae@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