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홍찬영 기자]근로시간이 1.3% 줄어들 경우 단순노무 종사자는 22만명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4일 파이터치연구원의 마지현 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근로시간 단축이 자동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OECD 국가들의 연도별(2011~2017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단순노무 종사자의 주당 근로시간이 1% 단축될 시 자동화는 1.1% 촉진된다.

이를 우리나라에 적용하면 주당 근로시간이 43.1시간에서 42.5시간으로 줄어들게 돼 자동화로 인해 단순노무 종사자가 22만1000명이 감소하게 된다.

마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2011년부터 2017년까지 근로시간이 4.5% 감소해 OECD 국가 중 가장 많이 단축된 국가”라며 “OECD 국가 평균 주당 근로시간 변화율인 1.3% 감소와 비교하면 약 3.5배 더 줄었다”고 했다.

또 OECD 국가 중 우리나라가 가장 높은 자동화 지표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근로자 만명 당 102.2대의 자동화지표를 기록해, OECD 국가 평균 자동화지표인 근로자 만명 당 21.2대 대비 약 5배 높았다.

마 연구원은 “단순노무 비정규직을 많이 고용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 탄력근무제 단위기간을 최대 확대해 근로자를 로봇으로 대체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며 “일본과 미국은 탄력근무제 단위기간이 최대 1년이고, 독일은 단위기간이 6개월이지만 노사 합의를 통해 1년까지 확대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단순노무 정규직을 많이 고용하고 있는 영세기업의 경우에는 재정문제로 자동화 설비를 도입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스페셜경제 / 홍찬영 기자 home217@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