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수영 기자]다음달 11일 한미성장회담 일정이 잡혔다. 이는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처음으로 이뤄지는 한미정상회담인 만큼, 북한 비핵화룰 둘러싼 정상 간 톱다운 방식의 외교에 다시 시동이 걸리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방러도 임박한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한미·북러정상회담을 계기로 남북정상회담도 개최될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이번 방미가 북미 비핵호 협상의 촉진에 방점을 찍고 있는 만큼, 문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비핵화 협상에 대한 의결을 조율하고, 북한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수순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비핵화 협상을 지속할 의지나 대북 유연성을 발휘할 여지를 확인할 경우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직접 만나 협상 진전을 위한 설득에 나설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지난 29일 청와대 관계자는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남북 간 본격 논의가 전개되지 않았다”면서도 “북측이 2차 정상회담 이후 여러 측면에서 자체 평가 중인 것으로 알고 있으나 조만간 여러 움직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남북정상회담 논의는 아직 이르지만, 정부는 빠른 시일 내에 남북정상회담이 실현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한미정상회담이 북한의 제 14기 최고인민회의 1차 전체회의 개최일인 11일에 열리는 것도 북한 설득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김위원장은 최고인민회의 회의를 전후로 핵 미사일 실험 중단(모라토리엄)의 유지 여부 등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의 대외 노선을 밝힐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김 위원장이 북미 비핵화 협상 중단 등으로 새로운 길을 선언할 가능성도 점쳐지기 때문에, 상황에서 한미가 북미 비핵화 협상의 궤도 이탈을 막고자 서둘러 정상회담을 연 것이라는 분석이다.

임박한 것으로 보이는 북러정상회담도 남북정상회담 개최에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김 위원장 의장 담당인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이 지난 19일~25일까지 러시아 모스크바와 블라디보스토크를 방문한 것도 김 위원장 방러의 사전 답사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국가정부원 관계자는 지난 29일 국회 정보위 업무보고에서 김 부장의 방러 사실을 확인하며 “통상적인 외교 의전 협의를 시작했다고 러시아측이 이야기했다”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김 위원장이 4우러 11일 최고인민회의 1차 전체회의, 15일 김일성 주석의 생일인 태양절 등 북한의 주요 일정을 마치고 4월 말이나 5월 중으로 러시아를 방문할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다음달 말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될 예정인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정상포럼에 푸틴 대통령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일정과 연결되는 형식으로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북러정상회담이 성사될 것으로 전망도 나옴에 따라, 남북정상회담이 성사된다면 북러정상회담 일정과 연동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한미정상회담에서 북한을 설득할 만한 메시지가 나오지 않는다면 북미 비핵화 협상은 물론 남북 관계까지 교착될 수도 있다.

문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가져온 중재안에 대해 북한이 만족하지 않을 경우, 문 대통령의 중재자 촉진자 역할을 불신하면서 한국을 패싱하고 미국과 직접 대화를 시도하거나 북미 비핵화 협상과 남북 회담을 한동안 중단될 수도 있다는 분석 나오고 있다. 

 

스페셜경제 / 김수영 기자 brumaire25s@speconomy.com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