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부동산서비스사 체스터톤스, 영국 부동산 시장 조사와 전망 내놔
영국 부동산시장, 2016년 브렉시트 결정 이후, 아시아계 기관투자자들의 투자 행렬
주거용 부동산시장은 파운드화 약세, 브렉시트에 대한 관망세로 가격 하락지속
브렉시트 이후에도 영국의 경제적 지위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

[스페셜경제= 정민혁 인턴기자] 영국 상업용 부동산시장은 영국이 2016년도 6월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 결정 이후, 2018년까지 급격한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브렉시트에도 큰 타격이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글로벌 부동산서비스 업체인 체스터톤스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16년 6월 국민투표 이후 외국인들의 영국 부동산 투자가 2014년 이래로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영국과 유럽연합의 소프트 브렉시트 합의안 도출, 파운드화 약세와 영국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으로 인한 아시아계 자본의 유입으로 부동산 투자가 상승한 것으로 파악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2018년도 런던 중심지역 오피스 시장에 유입된 매입자금의 76%가 아시아 지역에서 유입된 것으로 조사됐고 하나금융그룹, 한국투자증권, 국민연금, 미래에셋이 브렉시트 투표 이후인 2017~19년도 사이 영국지역의 부동산을 매입한 것으로 조사된 것으로 드러났다.

체스터톤스 코리아 박성식 이사는 "어떤 형태의 브렉시트가 일어나더라도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 영향이 있는 것은 분명하나 그 여파는 제한적이고 오히려 기회가 될 것"이라고 내다본 것으로 전해졌다.

박성식 이사는 “영국의 GDP성장세는 안정적이다. ‘17~18년도 일어난 한국 기관투자자들의 투자는 브렉시트에 따른 리스크를 모두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라며 “파운드화 약세로 인한 저가매수의 기회와 더불어 영국 경제 펀더멘털에 대한 브렉시트의 영향이 제한적이며 런던이 유럽의 게이트웨이도시로서 계속 지위를 유지할 가능성이 큰 쪽에 무게가 더 실려있기 때문이다”라고 분석했다.

박 이사는 “하지만 MSCI 통계에 따르면 런던의 평균 오피스 임대차 기간은 2011년 11.5년에서 2018년에는 7.7년으로 줄었다. 새로워진 국제 회계기준에 따라 책임임대차를 부채로 인식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책임임대차가 점차 줄어듦에 따라 공유오피스가 2013~2018년 사이 런던에서만 공급이 208% 증가했다. 임대차계약 기간이 유연해짐에 따라 브렉시트 후 런던의 기업들이 유럽으로 언제든지 떠날 수 있는 리스크는 존재하는 셈”이라며 "다만 금융 중심지 런던의 금융업 종사자 수는 37.8만명으로 런던 내 전체 업종 중 종사자 수 7위에 불과하다. 오히려 TMT(Technology, Media, Telecom)등 종사 인력이 늘고 있다. 영국 금융업 면허로 유럽대륙에서 금융업을 영위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 금융업과 달리, TMT산업은 EU시장에 대한 단일 접근성이 높게 요구되지는 않는다. 이들의 움직임으로 인한 공실 발생을 유심히 봐야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상업용 부동산과 달리 주거용 부동산은 브렉시트 투표와 무관하게 2014년부터 가격 상승폭이 둔화됐으며 현재 영국의 주거용 부동산의 가격하락현상은 브렉시트의 여파보다는 영국 정부의 고가 주택에 대한 강력한 규제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고 특히 2018년 외국인들이 투자 목적으로 영국부동산 구입 시 외국인들에게는 0~12%의 거래세 SDLT(Stamp Duty & Land Tax)외에 3%의 추가 인지세를 납부하도록 조치를 시행하면서 침체를 가속화했다고 전해졌다.

또한 2019년 6월 런던지역의 평균 집값은 작년 동월 대비 2.7% 하락하였으나 하드 브렉시트 우려에도 불구하고 집값 하락의 낙폭이 줄고 점차 회복세를 보이는 국면인 것으로 드러났다. 브렉시트 투표 이후 EU국가 출신 이민자는 감소하고 있는 대신 2017년부터 3년 연속 20만명 이상의 비 EU국가 출신들의 이민이 늘고 있고 360만명의 EU국가 출신 영국 거주민 중, 브렉시트 이후에도 영국에 자유롭게 거주할 수 있는 권리를 신청한 사람이 100만명을 기록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외국인들의 실 거주 외에 투자목적용 부동산에 대한 규제와 달리 영국의 임대주택시장은 기회가 될 전망인 것으로 나타났다. 런던의 임대차 거주 비중은 1991년 16%에 불과했으나 2016~2017년에는 31%까지 증가했으며 임대료 상승률은 2018년 11월(4.6%) 이후 2019년 7월(3.2%)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BPF(The British Property Federation)에 따르면 약 14만3천 가구가 기관투자자들의 임대주택사업에 공급된 것으로 조사됐으며 그 중 52%가 런던에 소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스터톤스UK 데니스 찬 이사는 “파운드화 약세로 대거 2017년 이후 영국시장에 뛰어든 아시아계 기관투자자들과 달리 영국인들과 영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들은 주거용 부동산 매수의사 결정을 브렉시트의 윤곽이 확정될 때까지 미루는 분위기이며 이에 따라 임대주택의 임대료가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브렉시트가 일어난다면 영국 경제와 부동산 시장에 부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본다. 영국정부가 잃게 될지도 모르는 EU시장에 무관세 접근협의에 실패할 경우에 대비해서 13개국과 무역협정을 체결, 38개국과 무역협의를 계속하고 있으며, 브렉시트 이후 세제 법률 측면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유인책을 제공할 것이다. 다행히도 보리스 존슨총리가 공언한 10월 31일 브렉시트 실행을 두고 영국 부동산에 투자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엑소더스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외국인들이 영국 정부의 노력과 브렉시트 이후에도 영국의 경제적 지위가 공고할 것이라고 보는 것”이라고 그는 전망했다.

 

스페셜경제 / 정민혁 기자 jmh8997@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