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다정 기자]디플레이션 우려까지 퍼지고 있는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도 가장 낮은 수준에 속했다.

30일 OECD가 집계한 국가별 소비자물가 통계에 따르면 9월 한국의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0.4%였다. 이는 OECD 회원국과 가입예정국 등을 모두 포함한 40개국 중에서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난 2017년 9월에도 한국의 물가상승률은 2.0%로, OECD 평균 2.4%보다 낮았다. 그러나 유로존(1.6%)이나 일본(0.7%)을 웃돌면서 최하위 수준까지는 아니었다.

지난해 9월까지만 해도 한국은 2.1%로 OECD(2.9%)보다 낮았으나 유로존과 같고, 일본(1.2%)보다는 높았다.

그러나 지난해 11월을 기점으로 주요국 등 전세계적으로 물가 상승률이 둔화하기 시작한 가운데 한국은 그 속도가 더 가팔라졌다.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2.0%를 기록한 이후 올해 3월 0.4%까지 1.6%포인트 낮아졌다.

반면 OECD는 2.7%에서 2.3%로, 미국은 2.2%에서 1.9%로, 유로존은 1.9%에서 1.4%로, 일본은 0.8%에서 0.5%로 떨어지는 데 그쳤다.

올해 6월에는 한국의 물가가 0.7% 오르며 잠시 반등하는 듯했으나 8월에는 0.0%까지 낮아졌다. 8월 기준 한국보다 물가 상승률이 낮은 곳은 그리스(-0.2%)와 포르투갈(-0.1%)뿐이었다.

9월에는 그리스와 포르투갈 물가 상승률이 각각 -0.1%로 나타났지만 한국은 더 하락(-0.4%)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196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54년 만에 ‘최저치’다.

최근 한국에서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디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분위기다.

일단 정부는 디플레이션 우려에 대해서는 선을 그은 상황이지만 이 같은 저물가가 고착화 될 경우 디플레이션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관련 정부는 농산물 가격 폭등, 유가 하락 등 공급 요인으로 인한 일시적인 물가 상승률 하락이라고 봤다.

그러나 최근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다른 분석을 내놓으면서 주목받고 있다.

디플레이션이 아니라는 것에 대해서는 정부와 맥을 함께 하지만 원인 면에서는 공급 요인보다는 소비와 투자 등 수요가 위축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특히 수요 부진에 따른 저물가는 경제성장률 하락으로 이어지고 다시 수요 감소를 초래하는 ‘악순환’이 발생한다고 경고했다.

디플레이션 우려가 깊어지는 상황에서 정부와 KDI가 서로 다른 원인을 지목하면서 문제 해결의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원인에 따라 해결책이 달라지는데 양 측의 의견이 엇갈리면서 혼선이 있을 경우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KDI는 “최근의 저물가 현상은 정부 복지 정책이나 특정 품목에 의해 주도된 것이 아니라 다수 품목에서 물가 상승률이 낮아지며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낮아졌던 물가 상승률 추세가 주요국에서 점진적으로 반등해 각국의 물가 안정 목표 수준을 회복했다”며 “한국의 낮은 물가 상승률을 전 세계적인 저물가 현상의 반영으로 해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스페셜경제 / 김다정 기자 92ddang@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