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 = 김봉주 기자]멈추지 않는 미중 무역전쟁의 환부가 부풀어오르면서 중국의 외환통제가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대미 무역협상 장기화에 따른 무역수지 흑자 감소나 위안화 약세에 대응키 위한 ‘달러화’ 비축 의도로 해석된다. 3조 달러를 상회하는 세계 최대 외환보유국인 중국의 이같은 반(反)시장적 조치와 관련, 중국이 실제 비상시 동원할 수 있는 달러화 규모는 한정적인 것 아니냐는 의구심섞인 시각도 늘어나고 있다.

9일 금융시장에 따르면 최근 중국 시중은행은 개인이나 기업에 대한 달러화 교환 또는 해외송금을 통제 중이다. 외환당국이 이전보다 강화된 달러화 보유 한도를 적용하고 있는 셈이다.

홍콩 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에서 개인은 연간 5만달러를 초과하지 않는 선에서 은행에서 달러를 바꾸거나 외화예금을 인출할 수 있는데, 최근엔 명시적 규정 변화 없이 크게 낮은 한도가 적용되고 있다. 외화예금 인출 시 조사 대상이 되는 금액 기준 도 1회 5,000달러 이상에서 3,000달러 이상으로 바뀌었다.

달러 유출 단속은 좀더 엄격해졌다. 중국 정부는 해외에서 보험, 주식 등의 금융상품이나 주택을 구입하려는 고객에겐 달러를 바꿔주지 말라고 은행에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SCMP는 전직 인민은행 간부가 자신의 해외 계좌에 2만달러를 송금하려다 거절당한 사례를 전했다. 전월 중국 외환당국이 불법 송금을 시도했다는 혐의로 은행, 기업, 개인의 명단을 무더기 공표한 것 역시 외환통제 정책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전방위적 ‘달러 방어’에 나선 것은 미중 무역협상 장기화를 대비하려는 움직임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입장에서는 달러 공급은 줄어들고 수요는 늘어나는 환경을 의식한 것이다.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로 수출이 줄어들면 달러 공급원인 무역수지 흑자가 감소하게 도지만, 중국 경제에 대한 불안이 현실화할 경우 외국인의 달러화 투자자금이 빠져나갈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위안화 가치가 급격히 약화된다면, 환율 방어에 막대한 외환보유액이 투입될 수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스페셜경제 / 김봉주 기자 seraxe@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