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이시아 기자]미‧중 무역갈등으로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국내 단기외채비율이 7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났다.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율도 4년 9개월 만에 최대치를 찍었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6월 말 국제투자대조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준비자산(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은 34.7%로, 석 달 전보다 2.8%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14년 9월 말 34.9%를 기록한 이후 4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상승 폭 기준으로는 2012년 6월 말 3.2%포인트를 나타낸 이후 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체 외채 중 단기외채 비중이 높다는 것은 외국인이 세계 시장 상황에 따라 자금을 쉽게 뺄 수 있는 단기채권 중심으로 국내 자산에 투자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미‧중 무역갈등이 글로벌 환율전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단기외채 비율이 7년 만에 급증한 것이다.

전체 대외채무 대비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도 30.3%로, 0.6%포인트 상승했다. 이 비중도 지난 2013년 1분기 30.2% 이후 가장 컸다. 장기외채는 6월 말 기준 3220억 달러로 전분기 대비 109억 달러 증가했다.

단기외채는 외국인이 소유한 만기 1년 미만 채권 및 대출금 등으로 국제금융 시장 변동성이 클 때 급격히 빠져나갈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외국에서 유입된 자금 가운데 ‘핫머니’가 차지하는 비중을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된다.

2분기 단기외채 비중이 높아진 것은 외국인의 국내 채권투자 증가 및 외국계 은행 지점의 영업용 자금 본점 차입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진단되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외국인의 국내 투자잔액(866억달러)은 전분기와 비교해 62억달러 상승했다. 통안채 등 단기채권 투자잔액(127억달러)은 전분기 대비 25억달러 늘었다. 외은지점 등의 단기 차입금(703억달러)은 전분기 보다 41억 달러 증가했다.

한은과 기재부는 단기외채 비중 상승을 외환건전성 악화로 볼 수 없다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한은 관계자는 “단기외채 뿐 아니라 장기외채도 큰 폭 늘었다. 원화 채권 수요가 늘어난 것에는 대외 신인도가 반영된 측면도 있기 때문에 외채 건전성이 나빠졌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스페셜경제 / 이시아 기자 edgesun99@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