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게티이미지뱅크]

[스페셜경제=이인애 기자]저축은행들이 신용등급 1~3등급의 고신용자에게 평균 15%대의 중금리대출 금리를 부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중·저신용자 못지않은 금리를 책정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저신용자의 부실 리스크를 고신용자에게 전가하는 태도로 볼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15일 금융권이 내놓은 자료를 보면, 저축은행 업계 1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SBI저축은행이 지난해 자체 중금리대출을 신규 취급하며 1~3등급인 차주들에게 평균 연 15.4%의 금리를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JT친애저축은행은 15.77%, OK 저축은행 14.89%, 웰컴저축은행 14.57%, 페퍼저축은행 13.58% 순으로 고신용 차주에 금리를 부과했다.

아울러 저축은행업계에서 작년 1~10등급자에게 공급한 중금리대출 평균 금리는 연 14.38%로, 주요 저축은행들이 고신용자에게도 중·저신용자들과 비슷한 금리를 부과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2분기에 SBI저축은행이 중금리대출의 금리를 지난해 평균치인 15.4%보다 17bp 올렸고 같은 기간 페퍼저축은행 42bp, OK저축은행 30bp, JT친애저축은행 10bp씩 고신용자에 대한 중금리대출 금리를 인상하며 올 들어 고신용자에 대한 금리가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중은행들이 대출 금리를 잇달아 내리고 있는 금리인하기 상황과는 대조적으로 보인다.

중금리 구간(연 5~20%)의 대출 공급이 부족해 나타나는 ‘금리 단층’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정부는 중금리 대출 판매를 독려하고 있다. 대출 총량규제 대상에서도 중금리대출을 제외한 것도 이 같은 목적이다.

이 같은 정부의 목소리에 저축은행업계도 중금리시장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저축은행은 전년 대비 113% 증가한 2조9000억원에 달하는 중금리대출을 취급했으며, 이는 금융권 전체 중금리대출 공급액인 약 6조원의 절반 수준이다. 하지만 고신용자에게도 연 15%에 육박하는 금리를 부과한 것으로 드러나 중금리대출이라는 이름의 의미가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과도한 금리 책정은 이자 이익만을 노리는 저축은행업계의 횡포라고 비판하고 있다.

중금리대출은 취급액의 70% 이상을 4~10등급 차주들에게 시행해야 하고, 연 20% 미만의 금리를 적용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차주의 연체 가능성에 대비해 적립하는 대손충당금이 커져 이자 수익이 악화될 수 있다. 이에 상대적으로 리스크 관리가 수월한 고신용자에게 고금리를 책정해 이익을 발생시켜 중·저신용자 대출에서 내지 못한 수익을 거둬들이고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 등은 “조달금리는 연 2~3%에 불과하지만 고신용자에게도 15%까지 대출금리를 책정하는 것은 마진을 최대한 남기겠다는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며 “금리단층을 완화하기 위해 공급을 확대한 중금리상품의 취지가 무색해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저축은행은 “고신용자라도 저축은행을 이용한다는 것은 대부분 은행 대출한도가 다 찼다는 뜻”이라며 “이런 점을 감안하면 고신용자라고 무조건 리스크 관리가 용이한 것은 아니라 10% 중반대의 금리 적용은 불가피하다”고 해명했다.

 

스페셜경제 / 이인애 기자 abcd2inae@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