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접대 논란에 휘말린 김학의 당시 신임 법무부 차관이 지난 2013년 3월 21일 오후 청와대에 사표를 제출했다. 김 차관은 모든 것이 사실이 아니지만 저의 이름이 불미스럽게 거론된다는 사실 자체만으로 저에게 부과된 막중한 소임을 수행할 수 없음을 통감한다며 더 이상 새 정부에 누가 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으로 사임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스페셜경제=김수영 기자] 과거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성노예 의혹 수사에 참여한 경찰관들이 사건 수사를 전후로 사실상 ‘좌천성’인사발령을 받은 것으로 26일 전해졌다.

2013년 3월 초 경찰은 김 전 차관 관련첩보를 확인하고 같은 달 중순 무렵 특별수사팀을 꾸려 내사에 착수했다. 그동안 김기용 당시 경찰청장이 사의를 표명했고, 이어 이성한 청장이 취임한 이후 단행된 첫 번째 인사에서 수사 지휘라인이 모두 교체된 것으로 드러났다.

본청 최고 수사책임자인 수사국장(치안감)은 물론 2인자에 해당하는 수사기획관(경무관), 수사 실무부서장이던 범죄정보과장과 특수수사과장(총경)이 당시 인사에서 모두 물갈이 된 것이다.

심지어 당시 ‘물갈이’ 시기는 매년 11~12월경에 진행되던 경찰 정기 인사시즌도 아니어 의혹은 더욱 증폭될 전망이다.

신임 청장이 취임하면 조직쇄신차원에서 지휘부 일부를 교체하기도 해 이례적이라고까지 할 수는 없지만, 중대한 사건수사가 이뤄지고 있는 도중에 단행된 인사인 점을 감안하면 ‘너비’와 ‘깊이’가 너무 크다는 것이다.

특히 당시 수사기획관이던 이세민 경무관은 보직발령된 지 불과 4개월 만에 경찰청 부속기관으로 전보된 것으로 확인됐다. 경무관 승진 이후 본청에서만 2번째 보직이었으나, 이 경무관은 결국 본청으로 돌어오지 못하고 부속기관을 전전하다 옷을 벗었다.

경찰청 수사국 소속의 한 경정도 당시 수사팀장으로 실무를 총괄했지만 수사가 종료된 이후 인사 불이익을 당했다.

외근 형사경력이 대부분이었던 그는 본청 범죄정보과에서 범죄첩보 수집업무를 담당했지만, 이듬해 초 인사에서 수사지원부서로 발령돼 3년여 간 근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청 계장급에 해당하는 경정들은 통상 한 보직에서 여러 해 근무하며 승진을 노리는 경우가 많고, 보직이 사라지지 않는 한 과를 옮기는 경우도 드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그는 본인이 수사 외근부서에 계속 잔류하기를 원했음에도 지원부서로 발령된 것으로 알려졌다.

범죄정보과 출신의 한 경찰관은 26일 “수사외근들은 통상 계속 외근부서에서 일하다 승진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범죄정보과에서 자리를 옮긴다면 성격이 비슷한 특수수사과나 지능범죄수사대 정도일 것”이라며 “지원부서 이동이 일반적인 경우는 아니다”라고 전했다.

수사 초기 청와대에서 경찰에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날로 높아가는 와중에 검찰 과거사위원회가 자유한국당 곽상도 의원(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의 직권남용 혐의를 수사하라고 검찰에 권고함에 따라 당시 일부 경찰관들의 인사 불이익에 청와대가 개입했는지 여부도 수사대상에 오를지 주목되고 있다.

<사진제공 뉴시스>

 스페셜경제 / 김수영 기자 brumaire25s@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