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국내 굴지의 대기업 총수들이 스스로 혹은 타의에 의해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물론 아직까지 몇몇 그룹의 개별 악재에 따른 것이 대다수이지만, 과거와 같은 ‘제왕적 재벌 총수’의 시대는 종언을 고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29일 재계에 따르면 상장사의 정기 주주총회 시즌을 전후로 주요 그룹 총수의 경영일선 퇴직과 이사회 의장 사퇴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27일 재계 서울 14위인 한진그룹 조양호 회장이 대한항공 주주총회에서 사내이사 재선임안이 부결되면서 대표이사로 경영권을 박탈당했다.

물론 아직 한진칼 등을 통해서 그룹 경영에 영향력을 행사할 순 있지만, 총수 지위에는 치명적인 타격을 입은 셈이다. 조 회장 뿐 아니라 재계 25위를 달리고 있는 금호아시아나그룹 박삼구 회장 역시도 최근 핵심 계열사인 아시아나 항동의 감사보고서 문제 등에 대한 책임을 지고 지난 28일 물러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서 금호아시아나는 전문경영이 체제로 돌아갈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재벌 총수 체제를 더 이상 유지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이에 한참 앞서 지난해 11월말 재계 31위의 코오롱그룹의 이웅렬 회장도 돌연 자진사퇴를 하면서 재계를 놀라게 했다.

 

당시 이 회장은 “지난 1996년 1월 40세에 회장직을 맡았을 때 20년만 코오롱 운전대를 잡겠다고 다짐했었다”면서 퇴임식 없이 회장직에서 물러났다. 이어 각 계열사 전문경영인들에게 그룹 경영의 바통을 넘기는 소유와 경영의 분리 실험을 단행했다.

경우는 다르지만 재벌 총수들이 이사회 독립성 강화 취지로 스스로 이사회에 이장에서 물러나는 사례도 나오고 잇다. 서열 3위인 SK그룹은 최근 지주사인 SK㈜의 대표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겸직하도록 한 정관을 변경해 최태원 회장이 의장직에서 물러났다.

또 효성 조현준 회장 역시 지난해 3월 이사회의 전문성과 독립성 강화를 바탕으로 그룹 지배구조를 개선하겠다면서 지주사인 ㈜효성의 이사회 의장에서 물러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러한 변화를 두고 재계 안팎에서는 개별 그룹의 특수한 상황이 변영된 것으로, 한국 재벌 문화의 틀이 바뀌는 것이 아니라는 견해가 우세하다. 퇴진 이후 일정 기간의 과도기를 거치면 자신의 2세들에게 경영권을 승계할 것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재벌 총수 일가가 대를 이어 평생 절대적인 권한을 행사하면서 그룹 경영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던 시절은 지났으며, 그룹의 거버넌스가 사람이 아닌 제도 중심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스페셜경제 / 선다혜 기자 a40662@speconomy.com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