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홍찬영 기자]최근 ESS(에너지저장장치) 화재가 잇달아 발생했던 가운데, 화재 사건에 대한 조사 결과가 다음 달 초에 발표될 예정이다.

하지만 조사 기간이 길어진다는 지적이 잇따르며, 수개월째 사업이 중단된 업체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와 안전관리 대책 추진현황 및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1월3일 출범한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는 화재사고 현장조사·기업면담, 데이터 분석·검토 등을 위해 매주 1회 정기회의 및 수시회의와 워크숍 등 60여 차례 회의를 열었다.

원인조사위원회는 그동안 조사·분석과 함께 시험·실증을 전개했다. 배터리 해체와 전기적 충격에 의한 고장 가능성, 다른 구성품에 미치는 악영향 등을 시험·분석했다.

김정훈 위원장은 "ESS는 화재 발생시 전소되는 특성이 있고 다수의 기업과 제품이 관련돼 사고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며 "시험·실증 등을 조속히 완료해 6월초 조사 결과를 발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다음 달 화재조사 결과와 함께 ESS 산업의 안전대책과 생태계 육성방안 등도 함께 발표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조사가 장기화 될수록 ESS 사업을 적극 추진해오던 관련 기업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화재 이후 기업들은 신규 발주가 중단되는 등 시설 운영이 어려워지고 있는 실태다.

실제로 삼성SDI나 LG화학, LS산전 등 주요 ESS 기업의 1분기 실적은 반토막이 났고 중소기업은 생존의 기로에 놓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지난달 30일 기준으로 총 1490곳의 ESS 사업장 중 35%인 522곳이 가동이 중단된 상황이다.

한 ESS 관련 기업 관계자는 “국민안전이 최우선이기 때문에 원인 규명 작업은 필수적이지만 이렇게 장기간 산업 자체가 혼수상태 빠질수록 글로벌 경쟁력에도 큰 차질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스페셜경제 / 홍찬영 기자 home217@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