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소비 변화 키워드는 "거리두기"

▲ KB국민카드(사장 이동철)가 올해 상반기 자사 고객들의 카드 이용 빅데이터를 분석했다고 29일 밝혔다. (사진제공=게티이미지뱅크)

[스페셜경제 = 이정화 인턴 기자]KB국민카드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소비 행태 변화 키워드는 ‘거리 두기’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KB국민카드(사장 이동철)가 올해 상반기 자사 고객들의 카드 이용 빅데이터를 분석했다고 29일 밝혔다. 분석은 ‘코로나19’의 확산 추세에 따라 ▲확산 전(1월 1일~2월 11일) ▲확산기(2월 12일~3월 10일) ▲영향기(3월 11일~4월 21일) ▲조정기(4월 22일~5월 19일) 등 총 4개 구간으로 나눠 진행됐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 두기와' '3밀(밀폐·밀집·밀접)' 회피 경향이 불러온 소비 변화 양상이 뚜렷이 나타났다.

상반기에는 온라인 업종의 성장 등 생활의 디지털화와 함께 여가 장소도 실내 보다는 실외를 선호하는 모습을 보였다.

외식 규모는 축소되고 1인 가구 증가와 디지털 기술 발달로 최근 몇 년간 성장세를 보였던 비대면 결제의 증가세는 한층 가속화됐다. 원거리 보다는 근거리 소비가 확대되고 온라인 교육의 성장도 나타났다.

지난 1월1일부터 5월 19일까지 총 20주간 ▲배달앱 ▲영상·디지털 콘텐츠 ▲게임 업종의 카드 이용금액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50% 이상 늘었다.

사회적 거리 두기와 ‘3밀(밀폐·밀집·밀접)’ 회피 경향으로 주요 여가 관련 업종 내 카드 이용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고, 여가 장소의 특성에 따라 업종별 희비도 엇갈렸다.

골프장, 당구장, 볼링장 등 개인 간 물리적 거리 확보가 가능한 업종은 카드 이용률 변동이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대표적인 야외 여가 업종 중 하나인 놀이공원 및 유원지는 확산기와 조정기에 카드 이용이 각각 지난해의 26.6%, 22.9% 수준으로 감소했고 조정기에도 지난해 같은 기간의 절반(51.2%) 수준에 머물렀다.

피씨(PC)방을 제외한 대부분의 실내 여가 업종은 지난해 대비 카드 이용이 크게 감소했다.

영화관 내 카드 이용을 살펴보면 확산기에는 지난해의 36.9%, 영향기에는 12.1% 수준에 그쳤으며 조정기에는 카드 이용이 전년 동기 대비 92.6% 줄었다. 온라인 티켓 판매도 영화관과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음식점과 주점에서의 카드 이용도 전반적으로 위축됐다. 확산기 후반에 확산 전 대비 70% 수준으로 감소한 후, 조정기 이후에는 확산 전 수준으로 회복세를 보였지만 주점은 20% 내외의 감소세가 이어졌다.

대면 접촉 최소화 경향은 먹거리 해결에도 이어져 분석 기간 중 배달앱 이용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50% 이상 증가했다.

배달앱은 비대면 결제 선호 추세와 맞물려 확산기부터 조정기까지 카드 이용이 확산 전 대비 20% 가량 늘었다.

오프라인 음식점에서의 외식은 확산기와 영향기 모두 확산 전에 비해 20% 가까이 카드 이용이 감소했다

이에 비해 식료품점, 반찬가게, 온라인 식품관, 밀키트 등으로 구성된 집밥 업종과 배달앱은 확산기 이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하며 집밥 업종은 확산 전 대비 조정기에 21.5%, 배달앱은 확산 전과 비교해 영향기에 22.4% 이용이 증가했다.

1인 가구 증가 등의 영향으로 꾸준한 성장 가도를 달리던 집밥 업종의 경우 외출 자제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분석 기간 중 큰 폭의 성장세를 계속 이어가는 모습을 보였다.

재택근무, 시차출퇴근제 등 ‘코로나19’에 따른 근무 형태의 변화도 생활 패턴의 변화를 이끌었다.

영향기에 나타났던 출퇴근 시간대 지하철 이용 감소와 출근 시간대의 이용 집중도 분산 경향은 조정기에 들어서도 유지되는 모습을 보이며 새로운 생활 양상으로 자리 잡았다.

평일 이용 빈도가 높은 강남역 등 서울 시내 30개 지하철역을 이용하는 30~50대 고객들의 지하철 이용 건수를 분석한 결과 전통적인 출근 시간대(오전 7시~10시)의 경우 확산 전과 비교해 영향기에는 18.6%, 조정기에는 13.0% 이용이 감소했다.

사회적 거리 두기와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의 이동을 추구하는 성향은 가맹점의 위치에 따른 카드 이용에도 영향을 미쳤다.

원거리 가맹점은 영향기 초기 지난해의 79.5% 수준으로 카드 이용이 줄었지만 근거리 가맹점은 지난해의 97.8% 수준을 유지하며 상대적으로 카드 이용 감소가 미미했다.

분석 기간 중 교육 관련 업종의 카드 이용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오프라인 업종의 경우 학원 교육의 대안적 성격을 지닌 독서실·스터디 카페를 비롯해 편입 학원과 운전 학원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에서 카드 이용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온라인 교육 업종은 분석 기간 중 성장세를 유지했다. 온라인 외국어 강의는 확산기에 전년 대비 26.6%, 입시 관련 온라인 강의도 영향기에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29.2% 카드 이용이 늘어났다.

 

(사진출처=KB국민카드)

스페셜경제 / 이정화 인턴 기자 joyfully7@speconomy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