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유민주 기자]한국경제 ‘뇌관’으로 불리는 가계부채는 정부의 작업에도 증가세가 둔화되지 않고 있는 모양새다.


앞서 가계빚이 1300조원을 돌파했을때 금융사들은 대출을 제한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가계빚 1400조 시대가 현실화됐다.


특히 미국 기준금리 인상과 더불어 한국은행 금리인상이 임박한 가운데 가계부채의 어두움이 더욱 진해지고 있다.


22일 한은에 따르면 지난 2015년 1200조원대에 진입한 가계빚은 매년 100조원 이상 증가하고 있다.


이어 올 3분기 1400조원을 돌파했다.


실제로 한은 측은 “지난 7~9월 가계신용 잔액은 1419조1000억원으로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분기 1387조9000억원 보다 31조2000억원(2.2%) 늘었고, 지난해 9월 이후 1년 새 122조7000억원(9.5%) 증가한 수준이다.


이에 대해 국내 경제 전문가들은 “가계빚이 1400조원을 넘어선 사실이 금융시스템에 충격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한국은행의 금리인상으로 대출자들의 빚 부담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다만 시장금리가 올라가면 정부의 각종 대출 규제책과 맞물려 가계빚 증가세는 한 풀 꺾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반대 의견도 있다. LG경제연구원 조영무 연구위원은 "LTV, DTI 규제 강화, 신(新)DTI 도입 등은 대출 공급 억제책으로 그 효과가 기대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근본적으로 가계부채 증가세를 낮추려면 가계가 얼마나 대출을 늘리고, 왜 대출을 받는지 수요 분석을 바탕으로 수요 자체를 줄이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해외 주요국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을 보인다.


한은이 지난 2015년말 자금순환 통계를 기준으로 분석한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1%로 OECD 평균치(70.4%)보다 20.6%p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