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양국 교역액 2022년까지 300억불 수준 확대, 장기적 목표 500억불 이상

[스페셜경제=박고은 기자]인도네시아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9일 '한-인니 비즈니스포럼'에 참석해 양국 간 교역액을 2022년까지 300억불 수준으로 확대하고 장기적으로는 500억불 이상을 목표로 삼는 등 신남방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려는 계획을 발표했다.


한미FTA와 한·중 사드 갈등을 거치면서 기존 우리 정부의 외교정책에 대한 한계점을 근거로 미국‧중국 중심의 외교노선에서 탈피하고 무역의 다변화를 꾀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자카르타 시내 호텔에서 열린 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양국 경제부처간 장·차관급 교류를 활성화하고 4차 산업혁명·방위산업·환경산업 등 경제협력 분야를 다각화하는 등의 6가지 중점 협력과제를 제시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양국이 함께 더 큰 꿈을 꾸고, 더 큰 도전에 나서자”며 “양국 간 교역확대 수준을 넘어 아세안과 세계시장을 함께 개척하는 동반자가 되자고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 정부는 아세안과의 협력관계를 획기적으로 발전시켜나가기 위한 신남방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고자 한다”며 “상품교역 중심이었던 관계에서 기술과 문화예술, 인적 교류로 확대하고 교통과 에너지, 수자원 관리, 스마트 정보통신 등 아세안 국가에 꼭 필요한 분야에서부터 협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경제 외연 확대 외에도 안보 협력에도 발전을 추진한다. 문 대통령은 “사람과 사람, 마음과 마음이 이어지는 '사람(People) 공동체', 안보협력을 통해 아시아 평화에 기여하는 '평화(Peace)공동체', 호혜적 경제협력을 통해 함께 잘사는 '상생번영(Prosperity) 공동체'를 함께 만들어 가기를 희망”한다고 이른바 3P 전략을 제시했다.


이미 지리적으로 가까운 중국과 일본은 아세안 시장에 대한 가능성을 알고 미리 움직였다.


중국은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일본은 1977년부터 후쿠다 독트린 등을 통해 아세안 시장을 겨냥했다.


청와대 김현철 경제보좌관은 “그동안 역대 정부는 아세안의 전략적 중요성을 간과했고, 중장기 정책이 부족했으며, 중국·일본과 차별화된 접근이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해상세력과 대륙세력이 만나는 전략적 요충지인 아세안 10개국 모두 북한과 외교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북한을 대화 무대로 복귀시키는 데 아세안의 외교역량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중국과 일본의 아세안 외교 정책에 편입되지 않겠다는 의지로 분석된다.


이번 비즈니스 포럼 행사에는 양국 교류 역사상 최대규모 기업인이 참석했다. 우리 측은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강경화 외교부 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홍장표 경제수석, 김현철 경제보좌관을 비롯해 손경식 CJ 회장, 윤부근 삼성전자 부회장, 정지택 두산중공업 부회장, 하영봉 GS에너지 부회장, 정진행 현대자동차 사장, 김교현 롯데케미칼 대표이사 등 정재계 대표와 현지 진출 기업인 200여명이 참석했고 인도네시아 측에서는 로산 루슬라니(Rosan Roeslani) 인도네시아 상공회의소 회장, 아이르랑가 하르타르또(Airlangga Hartarto) 산업부 장관, 바수끼 하디물조노(Basuki Hadimuljono) 공공사업부 장관, 토마스 램봉(Thomas Lembong)투자조정청 청장을 비롯해 까이롤 딴중(Chairul Tanjung) CT그룹 회장, 프랜키 위자야(Franky Widjaja) 스마트프렌 회장, 사땨 헤라간디(Satya Haragandhi) 자카르타 자산관리 공사 사장 등 인도네시아 대표 기업 및 정부 인사 200여명이 참석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지난 9월7일 러시아 극동 지역과 중국 동북 3성, 중앙아시아 국가와 몽골 등 유라시아 국가들과의 경제협력을 체계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 ‘新북방정책’을 제시했다.


러시아가 추진하고 있는 신동방정책, 중국 일대일로, 몽골 초원의 길 이니셔티브 등 주변국의 대외경제협력 정책과 상호 연결고리가 많아 우리에게 경제적 기회 뿐 아니라 동북아시아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을 해소할 지속 가능한 해결책으로 구상됐다.


[사진출처=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