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반도 배치에 따른 중국 내 반한 감정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지난 17일 중국 베이징의 한 롯데마트 정문 앞에 경찰관이 서있는 모습.

[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중국의 경제적 압박이 계속되면서 현지에 남아있는 국내 기업들이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심지어 철수를 하겠다고 나선 기업들에 자산반출을 금지하는 등 발목을 잡고 있다.


지난해 말 한반도 사드 배치가 확정된 이후부터 중국 당국은 국내 기업을 상대로 엄격한 규제를 통해서 경영 활동을 막고 있다. 여기다 더해 ‘반한감정’까지 더해지면서 국내 기업들의 제품을 찾는 소비자들도 줄어 든 상태다.


이 때문에 현진에 진출한 중소기업 및 대기업들이 철수를 준비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가 노골적으로 방해공작을 펼치고 있기 때문이다.


철수를 결정한 제조업체가 생산설비를 국내로 들여오는 일 조차도 어려운 상황이다. 중국 당국이 생산기계를 ‘중국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는 장비’로 규정하면서 반출을 금지하고 있다.


이에 중소기업들은 어쩔 수 없이 중국 현지에 남는 것을 선택하고 있다.


아울러 중국 당국은 생산설비의 반출을 금지뿐만 아니라, 막대한 보상금마저 요구하고 있다. 그동안 중국 당국의 규제로 인해서 현지에 있는 국내 대형 마트들이 6개월 넘도록 문을 닫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도 중국 현지 직원들에 대한 인건비 진출은 계속됐다. 이러한 점 때문에 중국의 진출은 절대 없었다고 선언했던 롯데그룹마저도 롯데마트 철수를 공식화했다.


하지만 이러한 결정에 중국 당국은 '노동계약법'에 따라 종업원에게 경제보상금을 지불해줘야 한다고 밝혔다. 고용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는 0.5개월, 6개월에서 1년 이하는 1개월치 급여를 지불해야 한다. 사실 매일같이 적자폭이 늘어나고 있는 기업으로서는 이러한 보상금 자체가 부담인 상황이다.


롯데그룹 역시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다. 보상금을 지불할 수 있고, 유통업체이기 때문에 반출할 장비도 없지만 중국 당국이 매각 협상에 제동을 걸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롯데그룹 은 현지 유통사와 화교자본인 중국 롯데마트 매장 매수를 타진하고 있지만, 중국 정부의 보복이 두려워 협상에 소극적으로 임하고 있다.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