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살충제를 사용한 산란계 농장의 59%가 ‘식품안전관리 인증기준 (HACCP·해썹)'을 획득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19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 18일까지 마무리된 정부의 전국 산란계농장 전수조사 RIF과, 달걀에서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농장 49곳 가운데 과반이 넘는 29곳(59%)이 HACCP인증을 획득한 것으로 조사됐다.


HACCP은 식품의 원재료부터 생산과 제조 그리고 가공·조리·유통까지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해 요소를 관리하기 위한 위생관리체계다.

특히 인증은 식약처 산하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이 부여하는 만큼 논란이 더 큰 상황이다.
더욱이 계란의 경우 생산 단계와 유통, 소비 과정에서 각각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인증원은 생산 단계 인증에서는 병원균인 살모넬라에 닭이 감염되지 않았는지를 확인하고, 사육 과정에서 항생제 등을 사용하지 않았는지 여부를 따진다. 이후 농장들이 해당 기준을만족하면 농장 입구에 HACCP 인증 마크를 붙여준다.


또한 인증원은 지난해 11월부터 살충제 잔류 검사를 HACCP 인증기준에 포함했다. 하지만 살충제 계란은 걸러내지 못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유통단계에서도 살충제 잔류 검사가 실시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인증원의 검사를 신뢰할 수 있는지가 논란이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인증원 관계자는 “HACCP 기준을 개정하고 1년에 한 번씩 사후 점검을 하기로 했다”며 “하지만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5월까지는 AI로 인해 농가 출입이 금지돼 사후관리를 못했다”고 설명했다.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