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은배 기자]문재인 대통령의 취임 후 첫 여름휴가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와 맞물리면서 편히 마음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휴가 기간인 4박5일 동안에도 신속한 대응을 위해 관련 보고를 받으며 긴장감 있는 시간을 보낼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문 대통령은 당초 ‘휴식’에 초점을 맞춘 휴가를 계획하고 있었다. 국내외 주요 현황 보고를 받는 것을 제외하고는 푹 쉬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 이는 국민들을 향한 자신의 ‘쉼표 있는 삶’ 공약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러한 발상을 바탕으로 청와대 참모진들을 향해 이번 휴가는 어떤 구상과 의도가 없으며 책도 읽지 않는 이른바 3무(無) 휴가에 나서겠다고 선언하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지난 28일 북한의 미사일 도발 감행에 따라 국내외 정세에 긴장감이 감돌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계획에 차질이 생기게 됐다.


문 대통령은 30일 첫 휴가지로 평창을 방문했지만 31일 오후엔 경남 진해 군부대 소재의 휴양시설로 이동했다. 신속한 보고와 대응에 나설 수 있는 군 부대 휴양지가 남은 휴가에 적합하다는 판단을 내린 것이다.


이와 관련, 청와대 측은 ‘북한의 재도발 등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고심 끝에 결정한 휴가지’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처럼 휴가 중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문 대통령이 휴가를 마친 뒤엔 곧장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방비할 것임을 시사했다.


청와대는 또 문 대통령은 여름휴가를 마무리 한 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일본 아베 신조 총리와 각각 전화 통화로 북핵 문제와 관련한 전화통화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두 정상과의 전화통화가 앞서 이뤄졌다는 사실이 전해진지 얼마 되지 않아 발표된 것이다.


한편, 문 대통령의 이른바 ‘베를린 구상’에 변화가 있을지 그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북한과 꾸준한 대화를 통해 한반도 평화구축을 이룩한다는 것이 주요 골자인 베를린 구상이 현 상황과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것. 이에 문 대통령이 현재 압박과 대화를 동시에 진행하는 투 트랙 대북 기조가 어떤 방향으로 변할 지 그 방향성이 주목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