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해운업이 한진해운 사태의 후폭풍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한 가운데, 업계에선 경쟁국 사례에 비춰 정부 지원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스페셜경제=김영식 기자]지난해 한진해운 파산 이후 본격적으로 국내 해운업에 위기의 그림자가 드리운 이후 좀처럼 불황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항만업 회복을 통한 해운업 전반적인 상생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어 주목된다.


한진해운 후폭풍 여전…지난달 처리물량 전년 대비 ‘반 토막’


27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 국적선사 전체의 미주노선 처리 물량은 지난해 대비 반 토막 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상선의 지난달 처리물량은 1주당 1만7291TEU로 전년 동기 대비 5665TEU 증가했으나 이는 한진해운이 처리하던 2만1782TEU에 달하는 물량의 26%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한진해운 파산에 따른 위기를 여전히 극복하지 못한 셈이다.


이처럼 한진해운이 남긴 나머지 물량은 해외선사의 몫으로 돌아갔다. 중국의 COSCO, 홍콩 OOCL, 프랑스 APL 등 외국 국적 선사에 고루 돌아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한국 해운업 전체의 컨테이너 수송량 역시 지난해 8월 대비 절반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8월 당시 한진해운과 현대상선 등 국내 선사의 컨테이너 수송량은 106만TEU를 기록했지만 한 달 뒤인 9월 한진해운의 법정관리행이 결정되면서 지난해 12월 51만TEU로 51% 대폭 감소했다.


7개월여가 지난 지금까지도 국내 선사의 수송량은 이전 수준을 좀처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업계에선 해운업 위기 대처에 중국이나 일본 등 경쟁국가 대비 정부의 소극적 행태를 지적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대만 정부가 최근 자국 선사에 2조2000억 원 규모의 저리 융자를 제공키로 한 사실이 알려지며 국내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대만의 양대 선사 중 하나인 ‘양밍’이 자금난에 처하자 정부가 적극적 대응에 나선 것이다.


대만·중국·일본 등 ‘정부 차원 해운업 살리기’ 적극 행보


양밍은 정부 지원을 받기 위한 사전작업의 일환으로 지난 4월 감자와 유상증자 등을 시행, 주식거래를 일시 중단했지만 ‘제2의 한진해운’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끊임없이 받아왔다.


그러나 대만 정부는 지난해 발표를 재확인, 결국 2조2000억 원에 달하는 중장기 저리 융자를 제공하며 정부 차원의 자국 해운업 살리기 행보를 적극적으로 이어갔다.


중국과 일본의 경우 최근 글로벌 해운업계에 만연한 합종연횡에 따른 ‘무한 치킨게임’ 기조에 대비해 해운 3사 합병이나 선사 인수 등에 이들 정부가 적극 나서면서 세계 해운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중국 국유 해운사인 COSCO는 홍콩 OOCL을 63억 달러(약 7조2500억원)에 최근 인수했다. 일본의 경우 NYK, MOL, K라인 등 일본 해운 3사가 힘을 합쳐 이달 10일 오션네트워크익스프레스(ONE)로 거듭났다.


이 같은 중국과 일본의 ‘몸집 불리기’ 행보는 글로벌 해운시장에서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최근 독과점 체제 구축을 위해 세계 해운시장에서의 무한 치킨게임 양상을 규모의 경제로 버틸 힘을 각각 자국 내 선사들이 최대한 확보케 하기 위한 이들 정부의 노력이다.


실제 현재 운임을 주도하는 글로벌 해운선사들은 손실을 감수하면서도 공급량 확대로 운임을 낮추고 있다.


이런 가운데, 업계에선 지난해 한진해운 파산에서 드러난 한국 정부에 대한 태도가 이 같은 경쟁국 사례들과 정면 배치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다 적극적인 우리 정부의 해운업 지원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특히 국가기간산업인 해운업이 붕괴할 경우 업계 내 막대한 피해는 물론, 자칫 수출 경쟁력 약화로 이어져 국가경제 전반으로 침체가 뒤따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