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은배 기자]문재인 대통령의 제안으로 추진된 여야대표 회담이 오는 19일 개최된다. 이번 영수회담은 정국 정상화에 관한 논의가 심도 있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영수회담은 역대 대통령들이 국정운영에 차질이 빚어질 우려가 발생했을 때 주로 활용해 어려움을 타개하곤 했던 수단이기 때문이다. 다만 그 성과에 대해선 아직 예단하기 이르다는 평가가 나온다.


고(故) 노무현 대통령의 경우 임기 내 2차례의 영수회담을 가졌다. 특히 세간의 이목을 끌었던 회담은 지난 2005년 9월 노 전 대통령이 당시 한나라당 대표였던 박근혜 전 대통령을 만난 것이다. 노 전 대통령은 이 자리를 통해 ‘대연정론’을 제안했다. 지역구도가 심한 선거제도 개편에 동의해 주는 조건으로 대통령의 권력을 내각제 수준으로 분산시키겠다는 골자다. 다만 박 전 대통령은 잘라 거졀했고 합의문 도출조차 이뤄지지 않았다.


노 전 대통령은 2007년 2월엔 당시 한나라당 강재섭 대표와 영수회담을 갖고 민생문제 등 5개항 합의문 작성을 성사시키기도 했다. 다만 구체적 결과물을 낼 수 없었던 탓에 야당으로부터 ‘속빈 강정회담’이라는 오명을 써야만 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재임기간 동안 세 차례 영수회담을 가졌다. 이 전대통령은 2008년 5월 당시 통합민주당 손학규 대표와 회동했지만 별다른 소득을 내지 못했다. 같은 해 초 논란을 빚은 미국산 소고기 수입 재협상과 한미간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이 핵심 의제였다. 이 전대통령은 FTA 조기 비준을 요구했지만 도리어 손 전 대표는 대통령 사과 및 미국산 소고기 수입 재협상을 촉구하며 반발했다.


이 밖에 두 번의 영수회담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대통령과 야당은 평행선을 유지했다. 2008년 9월 이 전 대통령과 영수회담을 했던 당시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회담을 “종합부동산세 등 각종 세제나 국가균형 발전 등과 같은 부분에 대해선 철학적 차이가 있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었다는 평가를 내놨다. 2011년 6월에 진행된 이 전 대통령과 손 전 대표의 두 번째 영수회담 역시 등록금 인하 등 민생의제를 두고 넓은 범위에선 동의를 이뤘으나 방법론에서 이견차를 좁히지 못했다.


박 전 대통령은 2013년 9월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영수회담을 가졌다. 청와대와 대립각을 세우던 민주당은 장외투쟁을 외치며 거리에 나가 있었다. 영수회담으로 앞뒤가 막힌 정국을 타개할 방법이 도출되길 기대했으나 의견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박 전 대통령은 당시 민주당 대표였던 문 대통령과 두 번의 회담을 진행했다. 회동은 무성과로 끝났다. 2015년 3월 두 사람의 첫 회동은 경제정책에 대한 첨예한 대립만을 확인했을 뿐이다. 박 전 대통령과 문 대통령은 7개월 뒤인 2015년 10월 다시 만나서도 역사교과서 문제를 풀지 못해 성과없이 회동을 마쳐야 했다.


반면 과거 김영삼, 김대중 대통령 시절을 비롯한 그 이전 정부의 영수회담에서는 정국의 해법을 종종 찾곤 했다. 이 때문에 영수회담을 통한 협치 가능성이 기대되고 있는 것이다.


다만 비교적 최근 영수회담에선 대통령과 야당의 이견차만 더욱 깊이 확인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이번 영수회담에선 성과가 있을지 국민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