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지난해 말부터 불거진 중국의 금한령으로 인해 현대자동차가 해외 판매 부진을 겪고 있는 가운데, 노조까지 파업에 나설 수 있다고 밝히면서 악재가 겹쳤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 13일과 14일에 걸쳐 전체 조합원 5만 274명을 대상으로 파업 돌입 여부를 묻는 투표를 진행한 결과, 재적 대비 65.9%인 3만 3145명이 찬성했다.


앞서 현대차 노조의 요구안은 ▲기본급 월 15만4883원 인상 ▲성과급 전년도 순이익의 30% 지급 ▲4차 산업혁명 및 자동차산업발전에 따른 고용보장 합의서 체결 등이다.


그러나 사측은 금한령 등으로 인해서 지난해 영업이익률이 2006년 이후 최저치인 5.5%까지 감소해 올해 임금 인상은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현대차에 따르면 임원들은 현재 맞이한 위기극복을 위해서 지난해 10월부터 올해까지 급여를 10%씩 반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 큰 문제는 올해 하반기 역시 상황이 나아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의 출범으로 인해서 한·중 관계의 변화의 조짐이 보였으나 아직까지 가시적인 성과는 눈에 보이지 않고 있다. 또한 미국의 연준 금리 인상으로 인해서 소비가 위축되면서 소비자들의 구매 역시 줄어들 가능성이 농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차 노조는 요구사항을 굽히지 않음에 따라서 사측과 합의점을 찾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현대차 노조의 파업은 사실상 시간문제라고 봐도 무방하다.


만일 현대차 노조가 전면파업에 돌입하게 되면 지난해보다 더 큰 손실이 예상되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노조 파업에 따른 생산 차질로 역대 최대인 누적 생산대수 14만 2000여대, 금액으로는 3조 1000억원의 피해를 입혔다.


뿐만 아니라 노조 파업으로 인한 피해는 협력사에게까지 뻗혔다. 공급물량이 감소하면서 협력사가 입은 손실만 9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때문에 관련 업계에서는 이번 노조 파업에 대해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우선적으로 사측이 금한령 등으로 인해 경제적 상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노조가 자신들의 이권만 생각해서 파업에 돌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노조의 파업이 단순히 현대차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협력사에게도 미침으로서 2차 3차 피해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현대차 중국 판매량이 줄어들면서 협력사의 부품 공급 물량도 줄어들면서 매출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