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난 하청업체들…성주디앤디 ‘공정위 고발’

▲ MCM으로 유명한 성주디앤디가 하도급 제조업체에 갑질을 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스페셜경제=최은경 기자]MCM으로 유명한 성주디앤디가 하도급 제조업체에 갑질을 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김성주 대한적십자 총재가 대표로 있는 성주그룹의 성주디앤디는 2005년 라이선스로 생산 판매하던 독일 패션 브랜드 MCM을 인수해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로 일군 장본인이다.


중국인들의 열광적인 지지로 한때 연 매출이 30% 이상 신장하기도 했지만 2015년부터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2014년 5899억 원이었던 매출은 지난해 5791억 원으로 감소했고,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772억 원에서 653억 원으로 하락했다. 최근에는 향수 론칭 등 사업 다각화를 통해 매출 부진 탈출을 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평소 패션사업 상생을 강조해온 김 회장은 새 정부 출범 이후 조용한 행보를 보여왔지만, 이번 하도급 업체와의 갈등이 불거지고 저조한 실적을 낸 것으로 경영 능력까지 도마 위에 올라 위신 추락이 불가피해졌다. 오는 10월 7일 임기가 끝나는 대한적십자사 총재직도 불안하다.


김상조 공정위 新체제…국면 전환 변수?


성주디앤디측 “사실과 달라, 과장된 내용”


하청업체들 ‘폭발’ “참을 수 없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에스제이와이코리아, 원진콜렉션 등 MCM 제품 제조하도급 업체들은 지난 3월 성주디앤디(MCM 브랜드 생산·판매법인)를 불공정거래 행위를 이유로 공정위에 신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신고는 성주디앤디가 부당한 단가를 적용하고 소비자가 반품할 경우 구매가가 아닌 백화점 판매가로 보상까지 떠넘기는 등 불공정 행위를 지속해 여러 업체가 부도까지 이르렀다는 내용이다.


하청업체들에 따르면 성주디앤디가 하도급 거래 계약 체결 당시 마진 지급 방식을 ‘정률제’로 정했으나 2005년 10월 제품 고급화에 맞춰 ‘정액제’로 바꿨다. 정액제는 판매가격 또는 원가와 관계없이 정해진 마진만 인정하는 방식이다.


애초 성주디앤디는 정액제 방식을 시범적으로 3개월만 시행하겠다고 밝혔지만, 하청업체들은 올해까지 12년간 착취를 이어왔다고 주장했다. 원가와 제품가격, 공정비 등이 모두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돌아가는 수익은 제자리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성주디앤디가 샘플 제작비와 운송비도 지급하지 않았으며, 하청업체의 귀책사유가 없는 반품의 책임도 하청업체에 전가했다. 또한 시스템 구축비용을 전가하고 기계 구매를 강제하기도 했다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결국 하청업체들은 에스제이와이코리아 외 4군데 이상의 업체는 회사 운영에 어려움을 겪다가 최종 부도처리됐다.


이에 하도급 업체 3곳은 지난 3월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장을 접수, 현재 협상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하도급업체 측에선 성주디앤디가 조정 면담에서 변호사를 내세워 시간 끌기를 하고 있다고는 주장도 나왔다.


9일 한 하청업체 관계자는 <스페셜경제>와의 통화에서 “일방적인 성주디앤디의 갑질로 인해 여러 하도급 업체들이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백억 원의 배상을 요구하는 것이 아닌 진심으로 사과를 받고 싶을 뿐인데, 김성주 회장은 내부 경영에 관여를 하지 않는다며 무책임한 태도로 이 문제에 대해 방관하고 있다”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이어 “하지만 조용한 행보를 보인다며 언론 노출을 자제한다는 김 회장이 대외적으로 대한적십자사 총재직 겸임을 통해 나눔과 봉사를 통한 사회 공헌 기업가로서의 이미지를 보이고 있어 어이가 없다”고 덧붙였다.


▲ 김성주 대한적십자 총재가 대표로 있는 성주그룹의 성주디앤디는 2005년 라이선스로 생산 판매하던 독일 패션 브랜드 MCM을 인수해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로 일군 장본인이다.

성주디앤디 “책임질 일 있다면 책임지겠다”


이에 대해 성주디앤디는 한 매체를 통해 현재 업체들이 문제 삼고 있는 단가 산정 방식 변경은 현행법상 위반 사항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성주디앤디 측은 현재까지 2회의 조정절차가 진행됐으며, 대표이사가 직접 신고 업체 대표들과 조정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신고한 업체들이 주장하는 금액의 근거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확인조차 하지 못한 채 수백억 원을 지급하라는 요구를 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 성주디앤디 관계자는 “4개 협력사는 현재 수백억 원의 배상을 요구하면서도 구체적인 증빙자료를 제시하지 않고 있다”며 “도의상 안타까운 심정으로 실수나 잘못이 있으면 보상하고 책임을 질 계획”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한편 새로 출범한 문재인 정부가 고강도 ‘재벌개혁’의 의지를 드러낸 가운데, 특히 하청업체를 상대로 한 원청의 이른바 ‘갑질’ 규제 강화가 예고된 상태다.


특히 ‘재벌 저격수’로 평가된 김상조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후보자가 최근 청문회를 통해 불공정한 하도급 관행 철폐를 언급한 바 있어 이 같은 전망에 힘이 실린다.


이에 따라 관련업계에선 김 회장의 MCM이 '적폐척결 1호 기업'이 될 가능성도 높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하도급 관련 부당거래에 있어 많은 하청업체들이 곤혹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며 “일감 몰아주기 등 ‘재벌개혁’을 타깃으로 한 공정위 조사가 이미 시작됐고, 면밀한 조사에 따른 엄격한 처벌 적용이 시급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사진제공=뉴시스, 네이버거리뷰 캡쳐]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