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최저시급 1만원'을 놓고 노동계와 재계의 갈등이 계속 되고 있다. 특히, 지금 당장 1만원으로 오르게 된다면 편의점 등 프랜차이즈를 운영하는 소상공인들이 입을 수 있는 피해가 막대하기 때문에 추가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편의점의 경우 '가맹본사-가맹점주-아르바이트생'으로 이뤄진 구조에서 최저임금이 오를 경우 자영업자인 가맹점주가 입을 타격은 만만치 않다. 아직까지도 최저임금을 지키지 못하는 편의점들이 있는 상황에서, 현재보다 3530원이 인상될 경우 '불법 사업장'이 늘어날 가능성이 농후하다.


더욱이 편의점의 경우 가맹본사가 가져가는 수수료만 약 30~35%인 것으로 알려졌다. 계약 형태에 따라서는 수익의 50%이상을 떼어가는 곳도 있다.


이와 관련해 제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편의점 빅4(씨유, 지에스25, 세븐일레븐, 미니스톱)의 2015년 매출액은 14조5953억원, 영업이익은 4조4926억원이다.


2010년(매출액 6조7621억원, 영업이익 2조803억원)에 비해 각각 115.8%, 116% 성장해 5년 만에 두배 이상 증가한 셈이다. 이에 반해 가맹점주의 연간 매출은 같은 기간 5억650만원에서 5억8875만원으로 16.2% 늘어나는데 그쳤다.


최저임금과 임대료 상승분을 감안하면 가맹점주의 상황은 더 악화된 셈이다. 점점 늘어가는 편의점 때문에 본사는 배를 불렸지만, 가맹점주들의 이미 포화상태가 된 '편의점 시장'에서의 무한경쟁으로 하향평준화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상황에 시급이 1만원으로 오를 경우 가맹점주들의 상황이 악활될 뿐만 아니라, 희생을 강요하는 것 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에 최기원 알바노조 대변인은 "대기업이 운영하고 있는 편의점 사업은 아르바이트생과 가맹점주의 저임금을 기반으로 고속 성장하고 있는 구조"라며 "아무 대책 없이 최저임금이 오르면 결국 약자와 약자의 갈등만 커질 수밖에 없다. 가맹본사가 책임을 지도록 제도적 개선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