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문재인 정부와 재계 사이에 갈등이 점점 더 깊어지고 있다. '재벌 저격수'로 알려진 인물들을 인사에 내정하는 등 재계들에 압박의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경총'이 비정규직 정책 관련한 발언을 내놨다가 정부와 여당으로부터 집중포화를 당한 뒤 상황은 점점 더 나빠지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재계 입장을 대변하는 목소리는 점점 더 작아지고 있다. 재계가 입을 다문 상황에서 정부는 거침없이 기업 정책을 추진하는 분위기다. 새 정부의 '대기업 패싱(passing)' 분위기가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지난 1일 정부는 '일자리 100일 계획'을 밝혔다. 해당 내용에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최저임금 1만원' 추진 등 재계에 민감한 이슈가 많았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정부는 주요 경제단체나 대기업에 관련 의견을 거의 구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뿐만아니라 앞으로 추진될 정책에도 재계 입장이 정부에 제대로 전달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경제 5단체 가운데 경총이 새정부의 '비정규직 제로' 정책 등에 대해서 반발했다가, 집중 포화를 당한 뒤 아무도 나서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뿐만아니라 그동안 재계의 입장을 대변해온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최순실 게이트' 이후 회원사들이 탈퇴하는 등 어려움을 겪으면서, 몸을 바짝 낮추고 있다.


또한 문재인 대통령 역시 지난 2월 대선 후보 시절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의 공개 질의에서 "전경련은 더 이상 경제계를 대표할 자격과 명분이 없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이 '우리나라 경제계의 진정한 단체'라고 언급한 대한상공회의소는 법정단체라 정부 정책에 반기를 들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대한상의는 전국 17만 상공인을 대변하고 있지만, 이해관계가 상충하는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의 입장을 모두 아우르기는 어려운 형편이다. 중소기업중앙회도 역시 정부 지원을 받는 법정단체인 데다 역할 범위가 다른 경제단체에 비해 좁은 편이다.


때문에 재계 역시 몸을 낮추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재계 관계자는 "대규모 투자와 고용을 집행하는 주체는 대기업인데 이처럼 정부와 소통 부재 상황이 계속되면 경영활동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며 "대기업이 겪고 있는 상황을 있는 그대로 정부에 전달해 줄 수 있는 최소한의 통로만이라도 열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정부의 이 같은 행보가 재계와의 소통의 벽을 쌓게 만들어 경제 성장에 부담이 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