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M상선이 지난 14일 취항한 부산~톈진~칭다오 노선에 중국 측 화물 선적이 불가능하게 됐다.

[스페셜경제=김영식 기자]중국 선사들이 SM상선 측에 ‘한진해운 채무 해결’을 촉구하며 석연치 않은 이유로 ‘딴지 걸기’에 나서면서 업계에선 이른바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보복 조치가 해운업계까지 번진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SM상선과 한진해운이 한 회사?…중국 측, 억지 논리


17일 업계에 따르면 SM상선이 중국 선사들의 반대로 한·중 정기선사협의체에 정식 가입하지 못하면서 지난 14일 취항한 부산~톈진~칭다오 노선에 중국 측 화물 선적이 불가능하게 됐다.


중국 측은 SM상선이 앞서 한진해운의 자산인 미주~아시아노선을 인수했으니 한진해운 채무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이런 중국 측의 압박은 다렌 노선 역시 비슷한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SM상선 측은 엄연한 논리로 ‘한진해운과 별개의 회사’인 점을 강조하고 있지만 중국 측은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현재 한국이 보유한 중국 항권은 약 40개 수준이다.


이 가운데 지난 한진해운이 보유해왔던 중국 내 항권은 2개로, 항권이 없는 선사의 경우 기존 양국 정부 합의에 따라 한·중 항로에 화물 선적이 금지된다.


따라서 SM상선 입장에선 기존 한진해운이 보유한 항권을 인수해야 영업이 가능하다. 이에 대한 선결 조건으로 정기선사협의체 가입이 이뤄져야 하지만 중국 선사들이 가로막고 있는 상태다.


업황 개선 조짐 보이자 中 ‘찬물 끼얹기?’


문제는 중국 측이 ‘한진해운이 미지급한 현지 터미널 이용료 등 채무를 우선 해결해야 한다’는 논리로 SM상선의 협의체 가입을 반대, 결국 항권 인수에 대한 논의조차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 두고 업계 일각에선 중국 측이 국내 해운업에도 본격적인 사드 보복에 나선 것이란 주장이 나온다.


국내 선사들은 특히 대중국 수출물동량의 경우 지난 2월까지 상승세를 타다가 올 3월 들어 급작스런 정체를 보이는 데 중국 측의 ‘사드 보복’ 본격화가 그 기저에 깔려 있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