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영식 기자]자금난에 허덕이는 대우조선해양을 시장 논리에 따라 처리할 때 예상되는 손실액을 놓고 산업통상자원부와 금융위원회가 3배 이상 차이나는 추정치를 내놓아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대우조선이 건조 중인 선박의 가치를 두고 금융위는 모두 손실로 판단했지만, 산업부는 건조후 회수 가능성을 보이면서 극명한 시각차를 드러냈다.


25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산업부는 최근 자체 분석을 통해 대우조선해양이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국가 경제적 손실이 최대 17조6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앞서 금융위가 대우조선해양 도산 시 추산한 손실액 59조원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지 않는 수준이다.


두 곳이 차이가 극명하게 갈리는 데에는 산업부는 법정관리, 금융위는 도산을 전제로 손실액을 계산했기 때문이다.


금융위는 지원이 끊어진다면 대우조선이 도산할 것으로 본 데 반해 산업부는 법정관리를 통해 어느 정도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했다.


금융위는 현재 건조 중인 선박 114척(지난해 말 기준)에 들어간 32조원을 모두 손실로 계산했다.


반면에 산업부는 만약 발주가 취소되더라도 추가 비용을 투입해 건조한 후 매각한다면 기존 투입 비용 이상을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업계에서도 산업부 주장에 동조하는 분위기다. 앞서 법정관리에 들어간 STX조선의 경우 발주 취소를 당한 사례가 드물었고, 건조 중이던 선박을 완성해 선주들에게 정상적으로 인도해 왔다며 금융위의 32조원 손실 주장이 과장됐다고 것이다.


하지만 정성립 대우조선 사장은 24일 기자간담회에서 “STX 조선은 몰락 직전 초저가로 계약돼 있어서 배를 지어 인도받으면 선주로서는 유리한 입장이었고, 지금은 시황이 정반대라 오히려 선주가 대우조선과의 계약을 취소하고 새로 발주하는 게 훨씬 저렴하므로 상당한 계약취소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