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영식 기자]조류인플루엔자(AI)대란에 이어 구제역 대란까지 밀려오면서 가뜩이나 위기에 빠진 축산농가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여기에 방역당국의 뒷북정책과 무능까지 겹치면서 공포는 가중되고 있다.


소·돼지 350만마리를 살처분했던 지난 2010년 이후 이듬해까지 구제역으로 소와 돼지를 땅에 묻고 농가에 보상금으로 지급하는데 든 세금은 3조3000억원이 넘는다.


2011년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포기하고 구제역 백신을 맞히기 시작했지만 2014년 이후 매년 구제역이 발생하면서 가축 방역 정책의 근본적인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회의가 나오고 있다.


또한 올해는 사상 처음으로 A형과 O형 구제역이 동시에 출현하면서 불안감은 더욱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경기 연천에서는 A형 바이러스가 나왔는데, O형 위주로 백신을 비축해 놓다 보니 백신 부족사태에 직면했다.


갑작스런 구제역 발생으로 긴장한 방역당국은 AI 때와 마찬가지로 단계별 늑장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전국에 있는 소의 구제역 백신 항체형성률이 97.5%에 달해 확산이 없을 것으로 발표했지만 실제 발병 농가의 항체율이 10%대 이하로 나오자 이를 철회하는 등 방역당국의 무능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